어릴때부터 종묘에는 소풍도 가고 여러 차례 답사도 다녔지만 사진을 담으려고 방문하기는 처음인것 같습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혹시 폐쇄되었을까봐 염려했지만 다행히 시간제관람으로 입장할수 있어 오랜만에 한적한 답사를 즐길수 있었습니다.
종묘는 1395년에 창건되어 유지되다가 임진왜란때 소실된 것을 17세기 초에 중건하였고 그후에도 여러 차례 증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지 안내문을 살펴보면,
「종묘는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국가 최고의 사당이다.
조선의 태조가 한양을 새 나라의 도읍으로 정하고 나서 바로 짓기 시작하여 1395년에 경복궁과 함께 완공했다.
궁궐의 동쪽에 종묘, 오른쪽인 서쪽에 사직단을 두어야 한다는 고대 중국의 예제에 따라 경복궁의 왼쪽인 이곳에 자리를 잡았다. 그후 왕조가 이어져 봉안해야 할 신위가 늘어남에 따라 몇 차례 건물의 규모가 커져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왕이나 왕비가 승하하면 궁궐에서 삼년상을 치른 후에 그 신위를 종묘로 옮겨 모신다.
정전(正殿)에는 공덕이 뛰어난 임금들을 모셨고, 영녕전(永寧殿)에는 태조의 4대조와 죽은 뒤에 왕으로 추존되거나 정전에서 신주를 옮겨온 임금들을 모셨다. 정전의 신실 19칸에는 태조를 비롯한 왕과 왕비의 신위 49위를, 영녕전의 신실 16칸에는 신위 34위를 모셨다.
왕위에서 쫓겨난 연산군과 광해군의 신위는 종묘에 모시지 않았다.
종묘제례는 국가의 가장 큰 제사로서 정전에서 1년에 5번, 영녕전에서는 1년에 2번 열렸으며 왕이 친해 주관했으며 음악, 노래, 춤이 일체화한 종묘제례악에 맞추어 진행했다.
현재 종묘제례는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행하고 있다.
종묘는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종묘제례와 및 종묘제례악은 2001년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등재되었다.」
* 말끔하게 정비된 광장에서 바라본 종묘.
* 종묘의 정문. 종묘의 규모에 비해 정문은 상당히 작은 편.
* 종묘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현재 시간제관람중.
* 종묘는 사적 제125호이자 세계문화유산. 중심건물은 정전과 영녕전.
* 정전, 영녕전으로 이어지는 신로(神路). 가운데는 혼령이 다니는 신로, 오른쪽은 왕이 다니는 어로, 왼쪽은 왕세자가 다니는 세자로.
* 정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연못과 향대청.
* 향대청(香大廳)과 망묘루(望廟樓). 향대청은 제례에 바칠 향, 축문, 예물을 보관하고 제관들이 대기하던 곳이며 망모루는 제례를 지낼때 임금이 잠시 휴식을 취하던 곳이라고.
* 정전에 이르기 전의 아담한 건물인 재궁은 왕과 세자가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며 제례에 대비하던 곳.
* 이젠 정전을 보러 갈 차례.
* 정전의 동문. 제례때에 왕, 왕세자가 이 문으로 입장했다고.
* 정전 동문은 제사때 왕이 출입하는 문. 동문 앞의 네모난 단 가운데 큰 것은 왕이 대기하던 곳, 작은 것은 왕세자가 대기하던 곳이라고.
* 정전 밖에 있는 전사청(典祀廳). 종묘대제때 쓰는 제물, 제기 등을 보관하고 제수를 준비하던 곳이며 앞쪽의 높고 넓은 단은 준비된 제수를 올려 놓는 곳이라고.
* 정전 신위봉안도. 정전의 신실 19칸에는 태조를 비롯한 왕과 왕비의 신위 49위를 봉안.
* 현재 종묘제례는 전주이씨 모임인 대동종약원에서 매월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행하고 있는 상태.
* 동문을 통해 바라본 정전 모습.
* 종묘의 중심건물인 정전(국보 제227호). 정전은 영녕전과 구분하여 태묘(太廟)라 부르기도
* 조선 태조를 비롯하여 19명의 왕과 왕비 30명의 신주가 모셔져 있는 정전.
* 가로 길이가 109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목조건물로서 간결하고 엄숙하고 아름답기로 정평 .
* 조선 왕조의 유교적 전통인 왕실의 제례문화를 보여주는 문화유산, 종묘!
* 정전의 좌우에 있는 익실(翼室).
* 붉은색으로 엄숙하게 꾸민 정전의 신실 모습.
* 마침 사진촬영을 위한 종묘제례를 준비하는 모습.
* 정전 담장 안에 있는 공신당.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신하 83명의 신주를 모셨다고.
* 정전 담장 안에는 또다른 건물로 계절마다 다른 일곱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칠사당
* 정전 뒷편 축대 모습. 화강암으로 쌓은 모습이 무척 소박스러우니 우리의 멋인것 같습니다.
* 정전의 서쪽에 위치한 영녕전.
* 영녕전 신위봉안도. 영녕전의 신실 16칸에는 신위 34위를 봉안.
* 제2의 정전, 영녕전.(보물 제821호).
* 세종때 신주모실 공간이 부족하여 추가로 지은 건축물로서 정전보다는 규모가 작은 편.
* 태조 이성계의 선대 4조(祖), 추존 왕을 비롯하여 총 16칸에 34위 봉안. 맨 마지막으로 모셔진 신주의 주인공은 영친왕.
* 영녕전의 서문. 서문은 제례음악과 무용을 담당하는 악공들이 출입했다고.
* 영녕전의 남문. 남문은 신주의 주인공인 영혼만 출입한다고.
*종묘제례때 악공들이 대기하던 악공청.
* 종묘제례악은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고, 2001년에는 종묘제례와 더불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