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바람의 유적답사

왕을 낳은 일곱 후궁의 신주를 모신 칠궁(七宮) 답사기

미호강 2020. 10. 11. 09:20

종로구 궁정동에 있는 사적 제149호, 칠궁(七宮)을 답사하였습니다.

 

칠궁 답사는 정말 감격스럽네요.

정확하게 10년전엔 몇달을 대기하여 청와대와 함께 묶어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오늘은 간단한 절차만으로 칠궁만 따로 떼어 두번째 답사를 했습니다.

해설자도 없이 단독으로 조용한 답사를 즐길수 있었지만

다만 냉천정과 수복방이 보수중에 있어 완전한 답사는하지 못했으니 다소의 아쉬움이 남기도 합니다.

 

현지 자료에 의하면,

「칠궁(七宮)은 근래에 와서 붙여진 명칭으로 조선시대에 왕을 낳은일곱 후궁들의 신주를 모신 왕실 사당이다.

원래 이곳은 영조가 어머니 숙빈최씨를 기리기 위해 1725년(영조 1)에 지은 사당으로 처음에는 숙빈묘라 하였다.

이후 1744년(영조 20) 에 '상서로움을 기른다'는 의미의 육상(毓祥)이라는 묘호를 올렸고, 1753년(영조 29)에 궁(宮)으로 승격하여 육상궁(毓祥宮)이 되었다.  영조는 재위기간중 200여 차례나 육상궁을 방문하였다.

조선 후기 도성 안에는 육상궁 외에도 왕을 낳은 후궁을 모신 사당이 여럿 있었다.  고종과 순종때 저경궁, 대빈궁, 연호궁, 선희궁, 경우궁 신주를 옮겼고, 1929년에 덕안궁을 옮겨 와서 육상궁에는 일곱 분의 신주를 모시게 되었다.

육상궁과 연호궁, 선희궁과 경우궁에는 각각 두 분의 신주를 모시게 되었다.

동쪽 육상궁 권역에는 나직막한 담이  둘러 싸고 서쪽 권역에는 네 개의 사당이 서로 접하여 서있다.  이 두 권역 사이에 냉천정과 냉천, 자연이라는 네모난 연못과 뒷쪽의 산자락이 어울려 한국식 정원의 원형을 이룬다.

이곳은 종묘와 더불어 조선시대 왕실에서 사당을 어떻게 짓고 운영했는지 알수 있게 해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며

여기에서는 매년 10월 넷째주 월요일에 칠궁제를 지낸다.」

 

왕의 어머니중 후궁이 많았다는 것은 곧 중전들의 아픔이 컸다는 얘기지요.

숙종, 영조, 정조의 정실왕비는 모두 왕자를 낳지 못했고 

경종, 영조, 장조(사도세자), 순조는 왕비가 아니었던 어머니에 대해 평생 애틋한 정을 지닌채 살아야만 했습니다.

종묘에 신주를 모시지 못한 후궁에 대해서는 각처에 사당을 지어 신주를 모셨는데요.

1908년(융희 2년) 일본 통감부의 향사이정(享祀釐正)에 관한 칙령 제50호에 따라 그해에 모두 육상궁 안으로 옮겨 합사했으며

마지막으로 1929년 덕안궁을 육상궁 안으로 옮긴 역사가 있습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숙종의 후궁 숙빈최씨(영조의 생모)의 육상궁은 1725년 경북궁 북쪽의 현재 자리에 사당을 건립, 숙빈묘로 출발하여 

1744년 육상묘, 1753년 육상궁으로 승격.

영조의 후궁 정빈이씨(추존왕 진종의 생모)의 연호궁은 순화방(경복궁 서북쪽, 순화동)에 있다가 1870년 가장 먼저 육상궁으로 옮겼고,

선조의 후궁 인빈김씨(추존왕  원종의 생모)의 사당인 저경궁은 송현방(한국은행 본관자리)에 있다가 1908년 육상궁 안으로 옮겼으며,

숙종의 후궁 희빈장씨(경종의 생모)의 대빈궁은 경행방(낙원동)에 있다가 1908년 옮겼으며,

영조의 후궁 영빈이씨(추존왕 장조-사도세자의 생모)의 선희궁은 신교동(서울맹학교 자리)에 있다가 1908년 옮겼으며,

정조의 후궁 수빈박씨(순조의 생모)의 경우궁은 양덕방(계동 현대사옥 자리)에 있다가 1908년 옮겼으며,

고종의 후궁 순헌귀비엄씨(영친왕의 생모)의 덕안궁은 태평로1가 서울시의회 자리에 있다가 1929년 가장 나중에 옮겨 모신 사당입니다.

 

그런데 몇십년전의 일을 회상해 보면, 

칠궁은 사직단과 마찬가지로 도로개설 등 여러 사유로 영역이 많이 침해되어 사회문제가 되기도 했는데요.

1968년 1.21 사태때 칠궁 담장  밖에서 무장공비들과 총격전이 있었지요.

그래서 1970년대에 세검정고개에서 청와대 방향으로 통하는 창의문로 도로를 개설하였고 이때 영역을 크게 침범하며 축소되었으며 덕안궁과 나란히 있던 사당 3동이 뒷편으로 이전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덕안궁은 앞에 홀로, 나머지 3동은 뒷편에 나란히 있는 이상스런 모양새가 된것 입니다.

또한 1978년 청와대 영빈관 신축시에도 칠궁 영역이 일부 침범되어 훼손된바 있었습니다.

 

그래도 칠궁이 이만큼이라도 잘 보존된게 천만다행이라는 생각을 하며  답사후에는 인왕산까지 오르는 기염을 토하기도.ㅎㅎ

 

 

* 칠궁을 방문하기 위해 이른 아침에 찾은 종로구 궁정동!

 

* 북악산 아래에 자리한 칠궁.

 

* 먼저 무궁화동산 안에 있는 안내소에서 출입신고를 해야.

 

* 사각형의 조형물은 1979년 박대통령 시해사건이 발생했던 궁정동 안가를 표시한듯.

 

* 청와대 옆이라 경비가 엄격한 칠궁 외삼문 주변.

 

* 칠궁의 앞 부분인 재실 정문.  현재 외삼문으로 통행하여 문이 잠긴 상태.

 

* 칠궁을 들어서면 처음 맞이하는 재실과 삼락당 측면.

 

* 곧장 가면 덕안궁, 선희궁, 경우궁, 대빈궁, 저경궁이고 오른쪽은 재실, 육상궁.

 

* 앞쪽에 재실이 있고 뒷쪽에 동서로 사당을 배치.   도로 개설 등으로 무척 옹색해진 칠궁의 모습입니다..

 

* 삼락당 앞의 재실 입구 모습.

 

* 칠궁의 재실인 송죽재.  약 300년 전 영조 당시의 건물로 추정한다고.

 

* 소박하면서도 크고 당당한 모습을 보여주는 재실.

 

* 재실에 걸려 있는 송죽재 현판.

 

* 송죽재 동쪽에 걸린 풍월헌 편판.

 

* 재실과 붙어 있는 안채격인 삼락당(三樂堂).  

 

* 영조가 육상궁에 거둥하여 예를 올린 후에 삼락당과 풍월헌에서 신하를 접견했다고 합니다.

 

* 삼락당의 예쁜 문.

 

* 삼락당 안채 모습.    한때는 비둘기집을 부른 가수 이석 등 황실가족들이 살았으나 10.26 사건 이후 보안문제로 나가게 했다고.

 

* 재실 옆을 돌아 육상궁으로 통하는 삼문.

 

* 주목, 향나무 고목이 맞이해 주는 육상궁 삼문 모습, 

 

* 망자의 혼을 위로해 주고 있는 향나무 고목.

 

* 장중한 기단석 위에 올라선 육상궁 정문인 삼문.

 

* 정말 격조 높고 품위있는 건축물이네요.

 

* 칠궁의 모태가 된 육상궁.  영조가 247회나 방문했다고 하니 그의 효심을 읽을수 있는 아주 귀중한 공간이네요.

 

* 육상궁, 연호궁이 함께 있는 육상궁.  

 

* 영조의 어머니 숙빈최씨의 신주를 모신 육상궁.

 

* 밖에는 연호궁, 안에는 육상묘 현판이 걸려 있는 육상궁.  숙빈최씨와 정빈이씨는 고부 사이로 사이가 무척 좋았었다고.

 

* 앞뒤로 걸려 있는 연호궁, 육상묘 현판.  연배 높은 분의 현판은 안쪽에 건다고.

 

* 연호궁은 추존왕 진종의 어머니이자 영조의 후궁인 정빈이씨의 사당.

 

* 영조의 어필로 생각되는 육상묘 현판.   육상궁이 아니고 육상묘 현판이 걸려 있는건 고종때 화재로 육상궁 현판이 소실되었기 때문.

 

* 아쉽게도 현재 냉천정은 보수공사중.

 

* 현장에 걸려져 있는 냉천정(冷泉亭)과 자연(紫淵) 연못 사진.

 

 

* 덕안궁 영역으로 통하는 내삼문.

 

* 덕안궁 영역의 정문격인 삼문.

 

* 덕안궁 영역에는 4채의 사당이 있는데 처음 맞이하는 덕안궁.  원래는 뒷편의 사당 3채도 덕안궁과 나란히 있었다고 하네요.

 

* 덕안궁은 영친왕의 어머니이며 고종황제의 후궁인 순헌귀비엄씨를 모신 사당.  

 

* 덕안궁 뒷편(북쪽)으로 나란히 있는 3채의 사당들.  

 

* 원래는 앞쪽에 덕안궁과 나란히 있다가 창의문로 도로개설때 저촉되어 뒷편으로 옮긴 상태.

 

* 맨 서쪽에 있는 저경궁.  다른 곳에 있다가 1908년에 육상궁 안으로 옮긴 모습.

 

* 저경궁은 추존 왕인 원종의 어머니이자 선조의 후궁인 인빈김씨의 신주를 모신 사당.

 

* 중간에 있는 대빈궁도 역시 1908년에 육상궁 안으로 모신 상태.  대빈묘가 원기둥이고 문짝도 크고 계단도 더 높은 것은  희빈장씨가 한때 왕비 자리에 올랐었기 때문.

 

* 대빈궁은 경종의 어머니이자 숙종의 후궁인 희빈장씨를 모신 사당.

 

 

 

* 맨 동쪽에 있는 경우궁, 선희궁.

 

* 경우궁은 순조의 어머니이자 정조의 후궁인 수빈박씨를 모신 사당.

 

* 경우궁과 함께 있는 선희궁은 추존 왕 장조(사도세자)의 어머니이자 영조의 후궁인 영빈이씨의 신주를 모신 사당. 선희궁과 경우궁이 합사되었으니 시할머니와 손주며느리가 같이 있는 겁니다.

 

* 육상궁과 덕안궁 사이의 전통정원.  냉천정 뒷편으로 소박한 우리 전통정원의 아름다움을 보여 주네요.

 

* 꼭 10년만에 왔으니 인증사진은 필수!

 

* 답사를 마치고 밖에서 바라본 칠궁.  도로 부분도 칠궁영역이었으나  공사로 말미암아 20m 정도 뒤로 물러난 상태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