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5) 경기 옛길, 평해길을 걷다 --- 제5길 물끝길(양근나루길) 신원역~양평역 14.2km.

미호강 2021. 1. 15. 18:04

2021.1/14(목),  평해길 제5길 물끝길(양근나루길)을 걸었습니다.
 
주요코스는 남한강을 따라 신원역~국수역~아신역~양평역까지 14.2km.
오늘 걷는 제5길 물끝길(양근나루길)은 옛날 평해길의 원형에 가장 근접한 길이고 또 자주 다녀 친숙했던 길!
눈 내린 남한강자전거길을 따라 걷고 또 폐철길과 터널을 걷고 복포천변을 걸으니 눈에 보이는 모든 풍경이 수려하고 황홀합니다.
예전엔 이 길을 싸이클로 달려 국토종주를 한적이 있고 그후에도 여러번 달린 적이 있어 마치 고향에 온 기분마저 드네요.ㅎㅎ
아무도 없는 길을 한가로히 걷고 있으니 갑자기 어깨가 으쓱해 지며 행복감이 물밀듯 밀려옵니다.
 
평해길이 있어 삶에 의욕이 샘솟네요~~!!
 
 

* 신원역 앞에서 제5길 물끝길(양근나루길) 출~발~!

 

* 물끝길(양근나루길)은 남한강을 따라 신원역~국수역~아신역~양평역까지 14.2km.

 

* 얼음 위에 눈이 내려 하얗게 변한 남한강.

 

* 신원역에서 1차 목적지인 국수역까지는 4km.

 

* 자전거길과 같이 가는 남한강 평해길. 이른 아침이라 무척 쌀쌀하네요~!

 

* 남한강 수청나루에 대한 스토리보드. 지금도 태극기를 올려 신호하면 나룻배가 다닌다는 수청나루터.

 

* 옛날부터 양서초등학교에 다니고 중앙선 기차도 이용하기 위해 남종면 수청리 사람들이 많이 건너 다녔다는 수청나루.

 

* 보도육교를 건너면 도곡리,

 

* 육교 위에서 바라본 강건너 남종면 수청리 지역.

 

* 유서 깊은 양서초등학교.

 

* 자전거길로 변한 폐철길을 걸으면,

 

* 강가에 보이는 섬은 미개발 상태로 남아 있는 거북섬(상류쪽에는 보이지 않으나 대하섬).

 

* 남한강의 대하섬, 거북섬은 사유지로서 아직 미개발상태로 남아 있어 더욱 소중.

 

* 도곡터널을 지나면,

 

* 시야가 확 트이며 국수리의 너른 들판에 용문산도 보이는데,

 

* 이젠 언덕 아래로 내려가 복포천을 걸을 차례.

 

* 항상 궁금했던 복포천. 복포천은 청계산에서 발원하여 국수리를 경유, 남한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 남한강으로 합류하는 복포천의 건강한 생태환경.

 

* 멀리 동쪽으로 용문산을 바라보며 복포천뚝방길을 걸으려니,

 

* 앗, 너희들은 청둥오리떼! 지난해 평화누리길을 걸으며 임진강에서 수천마리의 청둥오리를 본적이 있었는데 이곳에서도 볼수 있네요.

 

* 여기는 국수역 앞 동네.

 

* 국수역 입구에서 아신역까지는 3.9km. 만만치 않은 거리네요.

 

* 정겨운 모습의 양서면 국수리 들판.

 

* 복포리의 복포천을 건너고 작은 고개를 넘어야.

 

* 원복터널을 지나면,

 
 

* 아신역 1.9km/국수역 2.3km이니 2시간도 않되어 출발지에서 6.3km를 걸어 왔네요.

 
 

* 남쪽으로 양서면 복포2리 마을이 보이고 남한강도 살짝 보일 무렵,

 

* 복포철교를 건너 전면의 능선까지는 양서면 지역.

 

* 길이가 500m가 넘는 기곡터널.

 

* 기곡터널을 지나면 옥천면.

 

* 몇년전 싸이클로 국토종주 할때가 그립네요.ㅎㅎ. 여주보 32km/ 팔당대교 24km.

 

* 아신갤러리 담쟁이터널을 지나면,

 

* 옥천면 아신리 마을과 아신역이 보입니다.

 

* 10여년전 전철복선화 사업으로 옛 역사를 헐고 새로 지은 아신역사.

 

* 6번 국도 경강로를 건너면 다시 남한강변.

 

* 남한강에서 사탄천변을 잠시 걷다가,

 

* 옥천면을 흐르는 사탄천을 건너면,

 

* 다시 중앙선 폐철길.

 

* 폐철길을 따라 걷다가,

 

* 경강로의 달구실육교를 넘으면 다시 남한강변.

 

* 내린 눈이 쌓여 온통 하얗게 변한 남한강.

 

* 오호, 걷는게 이리 행복한 줄은 예전엔 미쳐 몰랐소~~!

 

* 오빈역 앞 남한강 풍경. 부근의 오빈역(娛賓驛)은 조선시대에 역(驛)이 있었던 교통요지.

 

* 옛날 강상면 사람들이 기차를 이용하기 위해, 5일장에 가기 위해 건너 다니던 양근나루터. 50년전에 양근대교가 놓이면서 역사가 단절되었지요.

 

* 남한강과 덕평천이 만나는 곳에 있는 양근섬.

 

* 남한강, 덕평천변에 있는 양근성지.

 

* 남한강변에 자리한 양근성지. 초기 천주교회의 지도자인 권철신, 일신 형제의 고향이며 활동지였고 양근관아와 참수터가 있던 곳이며 1801년 신유박해때 많은 신도가 순교했던 현장.

 

* 강변에 있는 떠드렁산(혹은 고산). 위에는 역사 깊은 고산정이 있으며 아래에는 물안개공원을 조성.

 

* 지난해에 개통한 남한강 양강섬 부교. 평해길도 부교를 통해 양강섬을 경유토록 했으면 좋았을텐데 다소의 아쉬움!

 

* 물안개공원에 있는가수 김종환 노래비.

 
국가경제가 어려웠던 IMF시절에 , 김종환도 어려워 아내와 떨어져 지내야 했다.
그래서 김종환은 아내와 가족이 살고 있는 홍천을 서울에서 5년동안 오가며 이곳 양평을 지나 다녔다.
그러던 어느날 새벽, 몸이 지칠대로 지쳐 양평 강가에 차을 세우고 잠시 잠이 들었고, 잠든 사실에 놀라 눈을 떠보니 강에 하얀 물안개가 가득 피어 있었다.
자신의 마음을 위로하는 듯한 아름다운 풍경에 감명받아 즉석에서 만든 노래가 바로 국민 애창곡 "사랑을 위하여"이다.
(양평군에서 세운 노래비 설명문)
 
「사랑을 위하여」
이른 아침에 잠에서 깨어 너를 바라볼수 있다면,
물안개 피는 강가에 서서 작은 미소로 너를 부르리,
하루를 살아도 행복할수 있다면 나는 그 길을 택하고 싶다."
 
 

* 헤매다가 간신히 찾은 스탬프함에서 확실하게 제5길 날인 완료!

 

* 양평역이 1.2km 남은 읍내 도로.

 

* 읍내를 흐르는 양근천 둔치길을 마지막으로 걸어야. 양근천은 백운봉에서 내려오는 물인데 양평읍이 생기게 한 주요 원인중 하나.

 

* 양근천 둔치길을 잠시 걸으면 양평역,

 

* 이게 뭐여~! 양근천변의 조형물로 조희승 작가가 만든 '달'. 어느날 달을 바라보니 외로운 자신과 같은 것 같아 동그랗게 만들었다고.

 

* 드디어 양평역에서 제5길 마무리!

 

* 오늘 걸은 제5길은 남한강을 따라 신원역~국수역~아신역~양평역까지 14.2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