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바람의 유적답사

성북구 정릉과 삼각산 흥천사를 답사하다

미호강 2021. 8. 16. 18:18

2021.8/17(화)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정릉과 흥천사를 답사하였습니다.

 

정릉(貞陵)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계비인 신덕고황후 강씨의 릉입니다.

(1899년 신덕왕후는 신덕고황후로 추존)

강씨는 조선 최초의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396년(태조 5)에 별세하자 경복궁에서 가까운 황화방(현 정동 영국대사관 부근)에 정릉을 조영하였지요.

그러나 태종이 즉위한 후 푸대접을 받던 정릉은 1409년(태종 9) 마침내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고 릉의 석물과 목재 일부는 청계천 광통교와 태평관 공사에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이장된 정릉은 일반인의 묘나 다름없이 방치되었으나 1669년(현종 10) 송시열의 청에 따라 260년만에 신주가 종묘에 모셔지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릉이 조영된 역사가 있습니다.

 

흥천사(興天寺)는 신덕고황후 강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 창건된 왕실원찰입니다.

처음 중구 정동에 정릉을 조영할때인  1397년(태조 6), 그 동쪽에 170여 칸의 규모로 창건되었는데 기둥과 서까래까지 금단청을 할 만큼 최고의 명소로 탄생되었는데요.

정릉을 옮긴 후에도 흥천사는 나름 사세를 유지하였으나 1504년(연산군 10) 화재로 모두 소실되며 역사속에서 사라지는 비운을 당하기도 했으나

1569년(선조 2) 왕명으로 함취정터(위치는 모호)에 절을 짓고 신흥사(新興寺)라고 이름을 고친바 있습니다.

1794년(정조 18)에는 절을 현 위치에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요.

1853년(철종 4) 대웅전(현재 극락전), 1855년 명부전을 지었으며, 1865년(고종 2)에는 흥선대원군의 지원으로 대방과 요사채를 짓고 이름을 다시 흥천사로 하였습니다.

 

역사 깊은 흥천사는 여러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어 더욱 의미가 깊습니다.

국가지정문화재로는 보물 제1891호인 42수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 국가등록문화재 제583호인 대방(大房).

지방문화재로는 서울시유형문화재가 여러점 있는데요.

서울시유형문화재 제66호 극락보전, 제67호 명부전, 367호 아미타불도, 368호 지장시왕도, 372호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및 괘불함, 제379호 경판(60판), 제 380호 현황도, 제 405호 극락보전 극락구품도, 제406호 극락보전 도량신도, 제407호 극락보전 신중도, 제408호 극락보전 천룡도, 제409호인 만세루 아미타불회도, 제410호 만세루 신중도, 제411호 만세루 제석천도, 제412호 도량장엄번, 제413호 극락보전 목조여래좌상, 제414호 극락보전 목조보살좌상, 제415호 명부전 석조지장삼존상과 시왕상 일괄, 제416호 목조관음보살삼존상 및 복장유물, 제423호 명주전 시왕도 등이 있으니

흥천사 전체가 보물같다는 생각입니다.

 

 

오랜만에 찾은 흥천사는 새로운 모습으로 일신되었으니 놀라움 그 자체네요. 

흥천사는 조선 후기까지 왕실의 후원으로 중창불사를 거듭하였는데 일제강점기 이후 사세가 기울어지는 아픔이 지속되었는데요.

침체의 수렁을 벗어나지 못하던 흥천사는 2011년 금곡정념 스님이 부임한 이후 10년 세월 동안 대대적으로 절을 정비하였습니다. 

절과 접한 북쪽 언덕에 있던 22가구, 60세대의 주민들과 원만한 합의를 도출한 후 이주시키고 그 자리에 삼각선원, 느티나무어린이집, 전법회관을 차례로 건립하였으며,

대방을 성공적으로 해체보수하여 장엄한 옛 모습을 되찾았고 기울어진 극락보전은 한식드잡이 방식으로 바로 잡았으며 현재 전면 석축을 전통방식으로 새로 조성하는 역사를 펼치고 있으니 참으로 대단한 변화네요.

 

아무쪼록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잘 계승하며 불자에게나 인근 주민들에게 꿈을 이루어주는 열린도량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합니다.

 

 

 

* 오랜만에 찾은 정릉!

 

* 근래 옛 터에 복원한 재실.

 

* 정릉 재실(안양청).

 

* 차분하게 금천교를 건너 릉역 안으로.

 

* 다른 릉과는 달리 릉역이 보이지 않는 진입공간.

 

* 홍살문을 지나면 향어로가 왼편으로 꺾이며 제향공간.

 

* 오호, 조선 태조 이성계의 두번째 비인 신덕고황후 강씨의 정릉.

 

* 가파른 사초지 위에 조영된 정릉의 봉분과 석물들.   현재는 출입불가 상태.

 

* 원형이 잘 보존된 정릉 정자각.

 

* 정릉 수복방과 비각.

 

* 정릉숲은 산책하기 좋은 최고의 힐링공간 - 모델은 마눌과 손녀 다인이.

 

* 정릉숲에 산재해 있는 암반들.

 

* 채석 흔적이 있는걸로 볼때 정릉 조영때 사용한 석재는 대부분 자체적으로 조달한듯.

 

* 언덕을 넘어 찾은 흥천사!

 

* 예전에 있던 일주문은 사라진채 숲길을 걸으면,

 

* 오호, 정릉의 원찰이었던 흥천사.  옛날 주차장 부지는 현재 복원 공사중.

 

* 1865년에 중창된 늠름하고 규모있는 흥천사 대방.

 

* 근래 해체보수로 옛 모습을 되찾은 대방(등록문화재 제583호).

 

* 충실하게 원형을 되찾은 모습이 무척 정갈하네요.

 

* 대방 외부에 걸린 현판은 흥선대원군 글씨.

 

* 대방 외부에 걸린 여러 편액들 - 흥천사, 서선실, 옥정루, 만세루.

 

* 빈터에 새로 지은 선방.  법당이라기 보다는 잘 사는 민가같네요.ㅎㅎ

 

* 흥천사의 중심법당인 극락보전.   조선 후기인 1853년(철종 4)에 지은 화려한 목조건축으로 서울시유형문화재 제66호.

 

* 근래 한식드잡이 방식으로 기울어진 건물을 바로 세웠으나  아직도 약간은 균형이 맞지않은 느낌.

 

*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팔작지붕을 한 흥천사 극락보전.

 

* 극락보전 현판과 양편의 용두 장식.   

 

* 극락세계에서 설법하는 아미타불을 봉안한 극락보전과 아미타삼존불.

 

* 화려한 모습의 목조보살좌상, 42수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이 앞쪽 좌우에서 협시하고 있고  중간 뒷편에는 주존인 목조여래좌상.

 

* 흥천사 최고의 보물인 42수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보물 제1891호).  매우 희귀한 42수 천수관음상으로 고려 말, 조선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

 

* 천장에 매단 종 모양의 기물은??

 

* 극락보전에 걸린 영친왕의 글씨 - "王孝天地玄黃金雨孝王海史".  영친왕(1897~1970)은 고종의 7번째 아들로 1901년 5살때 흥천사를 방문해 글씨를 남겼다고 하니 천진난만하기도 하나 나름 총기있어 보이네요.

 

* 해체보수 과정을 통해 옛 모습을 되찾은 대방.

 

* 극락보전 좌측에 있는 용화전.  건립된 역사는 짧지만 지붕이 무척 특이한 모습.

 

* 용화전에 모셔진 미륵불.

 

* 극락전 우측에 있는 명부전.  조선 후기 1855년(철종 6) 지은 건물로 서울시유형문화재 제67호.

 

* 새로로 달린 명부전 현판과 양편의 용두 장식.

 

* 지장보살상을 중심으로 무독귀왕 등 권속이 모셔진 명부전 - 일괄 서울시유향문화재 제415호.

 

* 명부전 외벽에 그려진 반야용선도.

 

* 지난해 준공된 전법회관.  흥천사의 면모를 일신시킨 큰 건물로서 안에는 지장전, 무량수전, 약사전, 종무소, 불자편의시설 등이 들어 섰다고.

 

* 여러 민가들을 이주시키고 전통 한옥으로 지은 삼각선원과 느티나무어린이집 모습.

 

* 잠시 극락보전 뒷편에 있는 산신각, 독성각을 보기로.

 

* 너른 암반 위에 있는 산신각과 독성각.  역사 깊은 건물에 춥다고 비닐하우스를 쳐놓는 행위는 절대 사절~~!!

 

* 비닐막을 씌워 어지러운 산신각. 원 이름은 북극전.

 

* 칠성탱화와 산신탱화가 걸려 있는 산신각 내부 모습.

 

* 역시 비닐하우스가 어지러운 흥천사 독성각(獨聖閣).

 

* 독성각에 모셔진 독성상(나반존자)과 독성탱..

 

* 절은 나서며 공사현장을 둘러 보았는데 현재 전통기법으로 석축을 복원하고 있더군요.  잘 마무리 되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