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
《경기옛길》 경흥길 제4길, 파발막길을 걷다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3. 1. 13. 06:36
2023.1.11(수) 경기옛길 경흥길 제4길, 파발막길을 걸었습니다. 경흥길 제4길 파발막길은 소흘읍행정복지센터~포천천~포천시청~포천시외버스터미널까지 11.2km. 축석령 너머 포천땅에 사람살기 좋은 너른 평원이 있었네요. 송우시장의 5일장 현장을 둘러보고 옛날 파발마가 달리던 경흥길을 살펴 보았으며 포천 단층대를 따라 흐르는 포천천을 걸으니 이제야 일부나마 포천의 진면목을 제대로 보는것 같습니다. 포천은 예전의 군사지역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급속하게 수도권의 교통 좋고 살기좋은 지역으로 변하고 있더군요. 구리~포천고속도로가 이미 뚫렸고 제2외곽순환고속도로가 일부 개통되거나 공사중에 있으며 지하철 7호선도 들어올 예정이라 이미 서울과는 지척의 거리가 되었으니 포천의 미래는 무척 밝음을 확인할수 있었고 비..
-
《경기옛길》 경흥길 제3길, 축석고갯길을 걷다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3. 1. 6. 08:38
2023.1/5(목) 경흥길 제3길, 축석고갯길을 걸었습니다. 축석고갯길은 축석고개삼거리~천보산 능선길~어하고개~ 소흘읍행정복지센터까지 8.5km. 축석령은 의정부시와 포천시와 경계를 이루는 분수령으로 제3길부터는 포천땅을 걷게 되는데요. 한양에서 철원까지 거리가 약 200리인데 이를 잇는 고개라 하여 이백리고개라고 하였으며 효자 오백주(吳伯周, 1643~1720)의 전설로도 유명합니다. 축석령에서 처음 맞이한 범바위(효자바위)를 보면서 축석령의 의미를 오늘에야 정확히 알았는데요. 축석령(祝石嶺)은 빌다, 기원하다의 축(祝), 돌 석(石), 고개 령(嶺)을 써서 돌에 기원하는 고개라는 뜻입니다. 제1길에서는 도봉산.사패산 자락을 걸었고 제2길에서는 천보산 자락길을 걸었는데 오늘 제3길은 포천과 양주의 경..
-
《경기옛길》 경흥길 제2길, 천보산길을 걷다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3. 1. 4. 08:41
2023.1/3(화) 경흥길 제2길 천보산길을 걸었습니다. 제2길 천보산길은 의정부역~축석고개삼거리까지 10km.의정부는 근래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몰라볼 정도로 변했더군요.의정부역 신역사를 비롯하여 문화의 거리, 중랑천.부용천 산책길, 경전철, 아파트단지 등이 조성되어 천지개벽이 된 느낌입니다.의정부를 감싸고 있는 천보산은 '하늘 아래 가장 보배로운 산'이라는 의미이니 오늘 천보산 자락을 따라 걷는 길이 더욱 뜻이 깊었는데요.원래는 의정부에서 포천으로 가는 경흥길이 지금의 6차선 호국로이겠지만 천보산 자락의 숲길이 대체 경흥길로 더욱 적합한것 같습니다. 특히 천보산에 의순공주, 인성군 등 역사인물의 묘가 여럿이니 걸으며 탐방하는 재미가 쏠쏠하더군요.부근에 인성군의 어머니 정민민씨, 아들 해원군 등의 묘..
-
《경기옛길》 경흥길 제1길, 사패산길을 걷다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3. 1. 2. 19:32
2023,1/1(일) 새해 첫날, 경기옛길 경흥길을 시작합니다. 금강산 가는 통일염원의 길, 한반도의 새로운 시작인 경흥길! 경흥길은 조선시대 한양에서 의정부, 포천을 거쳐 함경도 경흥(慶興)에 이르는 길로 전통적으로 물자유통의 중심길이자 한반도 방어를 담당한 중요한 길이었습니다. 의정부 망월사역을 시작으로 북한산둘레길, 반월성, 백로주, 금수정, 한탄강지질공원 등의 명소를 거쳐 포천시와 철원군 경계까지 앞으로 8개 구간 총 길이 88.8km의 옛길을 걷게 됩니다. 코스를 살펴보면 제1길 사패산길(8km), 망월사역~의정부시청~의정부역 제2길 천보산길(10km), 의정부역~의순공주묘~현충탑~축석고개삼거리 제3길 축석고갯길(8.5km), 축석고개삼거리~어하고개~소흘읍행정복지센터. 제4길 파발막길(11.2k..
-
눈덮인 팔당호반둘레길 4코스를 걷다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12. 14. 17:20
2022.12/14(수) 바람불고 추웠던 날, 눈덮인 4코스를 걸어 팔당호반둘레길을 모두 마무리하였습니다. 팔당호반둘레길은 4개 코스에 24.36km인데요. 그동안 3회에 걸쳐 1,2,3코스를 걷고 오늘은 4코스인 퇴촌.남종보건소~국사봉~가마고개~망조교까지 6.04km를 걸어 전체 완주한것 입니다. 4코스는 국사봉 등 해발 200m 내외의 완만한 산길을 말발굽처럼 둥그렇게 한바퀴 걷는 코스. 초행길인데 눈까지 내려주니 축복이네요. 마침 눈덮인 호젓한 산길을 걸으려니 나 자신을 되돌아 보는 시간도 갖게 되고, 애환이 서린 구터고개, 수리울고개, 가마고개를 넘으며 옛 사람들의 힘들었던 삶과 애환을 회상하려니 그렇게 세월은 흐르고 역사로 남는다는 생각입니다. 아름답고 행복했던 시간이 끝났네요. 팔당호반둘레길이..
-
팔당호반둘레길 3코스를 걷다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12. 12. 15:12
2022.12/5(월) 팔당호반둘레길 3코스를 걸었습니다. 팔당호반둘레길은 4개 코스에 24.36km인데요. 1,2코스 완주에 이어 오늘은 3코스인 팔당물안개공원~분원리~퇴촌.남종보건소까지 5.34km를 지방도로를 따라 걸었는데 위험하여 않좋은 면도 있었지만 팔당호와 경안천을 내내 볼수 있어 좋았습니다. 특히 남종면 우천리의 팔당호 소내섬과 분원백자자료관을 둘러보며 잊혀진 역사를 되돌아보는 소중한 시간도 가졌는데요. 놀랍게도 분원리 앞의 팔당호수 아래는 50년 전만해도 넓은 강변의 우천리(牛川里)가 있던 곳입니다. 서울 가까이에도 너른 수몰지역이 있다니 믿어지지 않는 일~~!! 우천리(牛川里)는 1972년 팔당호에 물을 담으면서 물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는데요. 우천은 흔히 '소내'로 불리던 경안천의 옛 이..
-
팔당호반둘레길 제2코스를 걷다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12. 5. 18:01
2022.12/1(목) 팔당호반둘레길 2코스를 걸었습니다. 팔당호반둘레길은 4개 코스에 24.36km인데요. 오늘 걸은 2코스는 검천2리(종여울)~정암산(406.4m)~귀여1리 팔당물안개공원까지 5.82km(사진의 적색선) 거리로 정암산 능선길을 걸었습니다. 오늘의 하이라이트는 정암산 정상의 조망~~!! 정암산 정상에 서니 남한강,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일대와 남양주 예봉산, 운길산, 천마산까지 너무나 아름다운 풍경이 펼쳐졌는데요. 팔당댐과 멀리 하남, 서울 아차산까지 일망무제의 조망을 자랑하네요. 늘 건너편에서 정암산 능선만 바라보다가 오늘 거꾸로 바라보니 정말 감격스럽습니다.ㅎㅎ 2코스의 정암산 능선길이 너무 호젓한데다 호쾌한 조망도 좋고 또 처음 걸어보는 코스이니 두고두고 추억으로 남을 전망입니..
-
팔당호반둘레길 제1코스를 걷다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12. 5. 18:01
2022.11/30(수) 드디어 팔당호반둘레길을 시작하였습니다. 팔당호는 1974년 팔당댐이 만들어지면서 생긴 대규모 호수입니다. 과거의 광주시 남종면, 퇴촌면 일대를 흐르는 한강과 경안천은 지금처럼 물이 많지도 않았으며 흰 모래밭이 끝없이 펼처져 있었지요. 그 아름답던 모습이 주마등처럼 스쳐가니 50여 년전의 일입니다. 팔당댐이 만들어지면서 수백만평의 농경지와 주거지, 금빛 모래밭은 물에 잠기어 지금처럼 호수로 변해버린 역사가 있는데요. 팔당호반둘레길은 수도권 시민의 상수원인 팔당호의 맑은 물 보전과 조선왕조 500여 년간 이어온 조선백자의 왕실도요지인 사옹원(司甕院) 분원(分院)의 역사를 널리 알리고자 2020년 국토교통부에 공모하여 자연친환경적으로 조성한 둘레길입니다. 팔당호반둘레길은 4개 코스에 ..
-
인천둘레길 16코스(장봉도)를 걷다 - 끝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9. 17. 21:02
2022.9/7(수), 오늘은 인천둘레길 최종 코스인 16코스를 걸었습니다. 16코스는 배를 타고 들어가 장봉도를 걷는 코스로 인천둘레길을 최종 마무리하는 코스로 의미가 깊지요. 강화도와 영종도 사이에 위치한 장봉도는 인천시 옹진군 북도면에 위치한 섬으로 깨끗하고 경치가 무척 아름다운 섬이지요. 동서 길이 약 9km, 남북 폭 1~1.5km, 면적은 6.8㎢나 되니 섬치고는 작다고 할수도 없는 아담한 크기입니다. 집에서 새벽에 떠나 07:30, 첫배로 장봉도에 입항하였고, 걷는 코스는 장봉항~상산봉~구름다리~옹암해변~장봉항까지 약 4.9km에 2시간 소요. 섬자체는 동서로 매우 길쭉한 모습인데 인천둘레길은 동쪽의 한 모퉁이만 걷는 짧은 코스여서 아쉬움이 남네요. 이로써 지난해 인천종주길 완주에 이어 금년..
-
인천둘레길 15코스(강화도 마니산)를 걷다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9. 17. 20:52
2022.9/6(화) 인천둘레길 15코스(강화도 마니산)을 걸었습니다. 맑은 날씨속에 강화도 마니산을 오름은 큰 행복이네요. 인천시 강화군 화도면에 있는 마니산(摩尼山)은 백두산과 한라산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산으로 해발 472m이며 강화도에서 가장 높은데요. 산정에는 단군왕검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했다는 참성단(塹城壇, 사적 제136호)이 있는데 이곳에서는 개천절에 제례를 올리고, 전국체육대회의 성화가 채화됩니다. 오랜만에 찾은 마니산은 여전히 성스럽고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주어 가슴 뿌듯합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인천둘레길 16코스, 장봉도 구간을 남겨두고 있네요. 마음이 홀가분하니 가볍습니다.ㅎㅎ 오늘은 15코스, 강화도 마니산을 오르는 날. 강화군 화도면 덕포리에서 바라본 마니산. 제15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