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천마지맥 누리길을 걷다(3) --- 새재~예봉산~예빈산~천주교소화묘원 8.7km강바람의 산행일기 2025. 4. 8. 08:36
2025.4/7(월) 3번째 걸음으로 천마지맥 누리길을 모두 마무리하였습니다. 오늘 마지막으로 걸은 구간은 새재~적갑산~철문봉~예봉산~직녀봉~견우봉~천주교 소화묘원까지 약 8.7km 거리인데요.먼 거리라고는 할수 없지만 여러 봉우리를 오르내려야 하기에 장장 5시간이나 걸렸지만 완주의 의미는 남다르네요.마을버스를 이용, 와부읍 도곡3리에서 2.6km를 걸어 새재에 올랐고 새재부터 천마지맥을 시작했는데새재에서 예봉산까지는 대체로 완만한 코스여서 큰 어려움은 없었으며 능선상에서 물푸레나무군락지, 철쭉군락지를 만날수 있어 무척 다채로운 산행을 즐길수 있었습니다. 오랜만에 찾은 직녀봉, 견우봉 코스는 쉽지 않더군요.세월에 장사없다고 오르락내리락하는 길이 이제는 힘에 부치고 자신감도 떨어지는것 같네요.ㅎㅎ그러나..
-
천마지맥 누리길을 걷다(2) --- 남양주 수리넘어고개~고래산~머치고개~갑산~새재 8km강바람의 산행일기 2025. 4. 5. 08:36
2025.4/3(목) 천마지맥 누리길 2번째 산행 이야기입니다. 이틀전 마치고개~백봉산~수리넘어고개까지 6.4km를 걸었고 오늘은 2번째로 수리넘어고개~고래산~머치고개~갑산~새재까지 약 8km를 걸었는데요.수리넘어고개에서 고래산 가는 길은 말 그대로 최악의 코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길이 좋지 않았으니 등산코스가 있다는건 허울뿐이더군요.낙엽이 쌓여 길이 보이지 않는데다가 미끄럽고 급경사길이 여러곳이라 감내하기 어려울 정도이니 도저히 추천할수 없는 코스입니다.길이 않좋다는 말을 들어도 설설설마했는데 산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이렇게 않좋은 코스는 처음 보는것 같습니다.ㅎㅎ 고래산에 오른 기쁨도 잠시, 머치고개에서 갑산 오르는 길도 좋지 않았는데요.처음엔 부드러운 능선길이었지만 정상에 가까울수록 낙엽..
-
천마지맥 누리길을 걷다(1) --- 남양주 마치고개~백봉산~수리넘어고개 6.4km강바람의 산행일기 2025. 4. 3. 21:40
2025.4/1(화) 천마지맥 누리길을 시작하였습니다. 천마지맥을 생각하면 온갖 추억과 상념에 젖어 드는데요.젊었을때 부터 서울 광진구에서 거주하며 아차산에 자주 올랐는데 그곳에서 남북으로 길게 펼처진 천마지맥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웬지 마음이 안정되고 편했습니다.조만간 꼭 걸어야 겠다는 각오를 다졌지만 게으른 천성으로 차일피일 미루어온지가 어언 수십년이나 되었네요.평소 산을 좋아해서 천마산, 백봉산, 예봉산, 예빈산 등은 단편적으로 이미 산행을 한바 있지만 천마지맥 전 코스는 이제야 단행케 되었으니 늦은 감은 있지만 다행이라는 생각도 듭니다.무리하지 않고 2~3회에 걸쳐 완주를 목표로 출발합니다. 한북정맥에서 갈라져 나온 천마지맥은 주금산, 철마산, 천마산, 백봉산, 고래산, 갑산, 적갑산, 예봉산,..
-
옛길을 걸어 운길산 수종사(水鐘寺) 오르다강바람의 국내여행 2025. 3. 31. 20:17
옛길을 걸어 운길산 수종사(水鐘寺)에 올랐습니다. 40여년전 진중리에서 절에 가는 도로가 새로이 뚫린 이후 대부분 차를 이용하지만 그 전에는 송촌리에서 걸어서 수종사를 찾았지요.당시에는 서거정도 그랬고 정약용도 그랬으며 일반 민초들도 송촌리 길을 이용하지 않고는 오를수가 없었습니다.송촌리 들머리에서 수종사까지는 약 1.6km 남짓으로 먼거리는 아니나 경사가 20~30도나 되어 무척 어려운 길이었으니 결코 쉬이 찾을수 있는 절은 아니더군요.옛길이 있는 위치는 서로 남북으로 지금 오르는 도로과는 정반대여서 절의 정문이 후문이 된 실정이지요.당시의 송촌리는 수종사 들머리인데다가 북한강 나루였던 용진이 가깝고 한음 이덕형 선생의 별서까지 있었으니 옛날로 치면 꽤 번화한 마을이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운길산 수종..
-
장호원 설성산성(雪城山城) 답사기강바람의 유적답사 2025. 3. 25. 09:46
장호원에 있는 설성산성(雪城山城)을 탐방하였습니다. 경기도 이천에는 설봉산성과 설성산성이 있는데 둘다 삼국시대에 쌓은 산성으로 서로 남북에서 마주보며 이천의 곡창지대를 지키고 있는데요.이번에 경기옛길, 봉화길을 걸으면서 설성산성을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설성산성은 설성산(290m) 정상부와 그 북쪽에 위치한 봉우리 사이에 있는 계곡을 포함한 포곡식(包谷式) 산성으로신라가 이천땅에서 성 쌓을 마땅한 곳을 물색할때 설성산에 와보니 이상하게도 돌아가며 띠를 두룬듯 흰눈이 내려 있으므로 눈의 자취를 따라 산성을 쌓고 이름을 설성(雪城)이라 했다고 전합니다.설성산성은 오랜세월 외적침입에 대비, 봉화대로 수호는 물론 산 아래에 있던 음죽현의 재산과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잘 관리되어 왔습니다. 설성산은 산세가 험..
-
경기옛길, 봉화길 제9길 설성산길을 걷다(끝) --- 설성면행정복지센터~설성산~청미교사거리 16km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5. 3. 22. 09:18
2025.3/21(금) 경기옛길, 봉화길 제9길 설성산길을 걸었습니다. 코스는 설성면행정복지센터~성호저수지~설성산~선읍리 석불입상~청미교사거리까지 16km로 설성면행정복지센터에서 시작하여 설성산을 넘어 장호원읍까지 걸었는데요.이로써 봉화길은 9회에 걸쳐 137km를 걸었고 덩달아 7개 경기옛길도 모두 완주하는 기록을 남기게 되었습니다.아날로드세대라 옛길 모바일앱이나 트랭글 등도 이용치 못해 길을 헤매는 경우도 종종 있었으나 완주를 하고 나니 기쁨이 배가 되네요.앞으로 옛길이 추가로 더 개척되어 계속해서 길을 걷게 되기를 희망합니다. 제9길은 남쪽의 경북 봉화로 향하는 경기도의 마지막 옛길로 장호원 끝에서 희열을 느끼며 충청북도를 바라보는 참으로 의미있고 아름다운 길이었습니다.처음 낮으막한 언덕을 넘어..
-
경기옛길, 봉화길 제8길 자채방앗길을 걷다 --- 부발역~자채방아마을~설성면행정복지센터 20km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5. 3. 18. 07:48
2025.3/17(월) 봉화길 제8길 자채방앗길을 걸었습니다. 코스는 부발역~자채방아마을~설성면행정복지센터까지 20km로 이천 부발읍, 대월면, 모가면, 설성면의 넓은 들판과 낮으막한 언덕길 또 아름다운 양화천변을 걸었습니다.봉화길이 제7코스에서 뜬금없이 동쪽으로 뻗어 여주역까지 가서 끝나 버렸지만 별도로 제8길, 9길에서는 부발역에서 이천의 남쪽지역을 걷는 추가 코스를 만들었는데요.이는 하나라도 더 보여주고 싶은 옛길 당국의 배려에서 나온 코스로 생각되지만 원래 봉화길이 광주, 이천을 거쳐 충주로 이어지는 길이었으니 제8, 9코스가 제대로 된 옛길같습니다. 부발읍 도심지를 지나 도착한 한국기독교역사박물관은 한영제(韓永濟, 1925~2008) 장로가 모은 10만여점의 교회사 관련 자료를 제공해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