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전남 여수, 고흥, 순천여행 --- 순천 낙안읍성, 송광사, 불일암강바람의 국내여행 2021. 8. 27. 10:45
남도여행 3일째인 2021.8/24(화) 순천 낙안읍성, 송광사, 불일암을 답사한 내용입니다.
송광사는 무슨 신도시처럼 이런저런 건물을 짓고 길을 넓히느라고 조용한 계곡을 모두 뒤집어 놓으며 난리법석중!
예전의 빽빽하던 나무도 볼수 없고 천년고찰이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어지럽네요.
다만 법정(法頂)스님이 계셨던 산내암자 불일암(佛日庵)만은 깊은 산중에서 조용하고 정갈하기 그지없는 청정도량으로 잘 남아 있어 가슴이 벅차더군요.
스님은 1975년에 자정암터에 새로 암자를 손수 짓고 그때 불일암이라는 편액을 걸었다고 합니다.
스님은 이곳에서 생전 17년을 머무르며 한달에 한편의 글로서 세상과 소통해 가면서 "선택한 가난은 가난이 아니다"라는 청빈의 도를 실천하며 '무소유'의 참된 가치를 널리 알리셨습니다.
스님이 가신지는 오래되었지만 아직도 그 분의 따스한 온기가 남아 있는것 같습니다.
전남 해남에서 1932년 출생하여 2010년 입적하신 스님은 지리산 쌍계사, 가야산 해인사, 조계산 송광사 등에서 수행생활을 하셨으며,
1970년대에는 함석헌 선생과 문익환 목사와 더불어 민주화운동에도 적극 참여한 적이 있었다는데 조계산 불일암으로 들어가 수행의 길을 다시 걷기 시작한 것은 1975년 10월.
인혁당 사건으로 젊은 청년들이 사형선고를 받는데 충격을 받고 독재자에 대한 증오심을 이겨내기 위해 암자로 들어갔다고 하네요.
스님은 이듬해 불일암에서 「무소유」라는 제목의 산문집을 내어 큰 반향을 일으켰고, 이후 「무소유」는 스님 그 자체였으며 스님의 삶의 전부가 되었습니다.
1996년에는 김영한씨로 부터 서울 대원각을 시주받아 길상사로 고치고 화주로 계셨으며
2003년에는 화주직에서 물러나 강원도 산골에서 직접 땔감을 구하고 밭을 일구면서 무소유를 삶을 살았다고 합니다.
마지막 가시는 길에 법정스님은
"이 몸뚱아리 하나를 처리하기 위해 소중한 나무들을 베지 말라. 내가 죽으면 강원도 오두막 앞에 내가 늘 좌선하던 커다란 넙적바위가 있으니 남아 있는 땔감 가져다가 그 위에 얹어 놓고 화장해 달라."
사리는 찾지 말고 수의는 절대 만들지 말고 내가 입던 옷을 입혀서 태워 달라. 그리고 타고 남은 재는 봄마다 나에게 아름다운 꽃공양을 바치던 오두막 뜰의 철쪽나무 아래 뿌려 달라. 그것이 내가 꽃에게 보답하는 길이다. 어떤 거창한 의식도 하지 말고 세상에 떠들썩하게 알리지 말라"는 당부말씀과
"자신의 이름으로 출판하는 모든 책을 출간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긴채 길상사에서 79세 나이로 입적하셨는데요.
마지막까지 우리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고 떠나신것 같습니다.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넘치는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 법정스님 「산에는 꽃이 피네」 중에서.
낙안읍성(樂安邑城)은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평지석성으로 비교적 원형이 잘 남아 있는 읍성입니다.
조선 초인 1397년(태조 6)에 토성으로 처음 쌓았으며 1424년(세종 6)에는 석성으로 고쳐 쌓았고, 정유재란때 폐허가 된 이후 1628년(인조 6) 낙안군수였던 임경업 장군에 의해 다시 복원된 역사가 있습니다.
이때 임경업 장군이 큰 칼로 금전산의 바위들을 내리쳐 하루만에 쌓았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낙안읍성은 동서 방향으로 길다란 장방형 모습을 하고 있으며 높이 4m, 길이 1,410m.
행정과 군사기능을 갖춘 읍성이기에 평상시에는 행정중심지, 유사시에는 방어기능을 갖춘 성곽으로 이용되었다고.
1983년 사적 제302호로 지정된 이후 마을을 원형에 충실하게 복원하고 객사, 동헌 등을 복원하는 사업을 펼쳐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행복은 결코 많고 큰 데만 있는것이 아니다.
작은 것을 가지고도 고마워하고 만족할 줄 안다면 그는 행복한 사람이다.
여백과 공간의 아름다움은 단순함과 간소함에 있다.
- 법정스님 "홀로 사는 즐거움" 중에서.
승보사찰, 송광사를 다시 찾았습니다.
천년고찰이니 보물도 많고 볼거리도 많지만 하나하나 천천히 살필수 있는 여건이 되지않으니 그게 정말 아쉬운 일이네요.
대략 20년 전 즈음, 선암사에서 조계산 굴목이재를 넘어 송광사로 내려오며 두루두루 답사한적이 있었는데요.
그때 고개를 넘어 깊은 산중에 있는 식당에서 고추장에 비빈 보리밥과 함께 된장에 찍은 배추속을 정신없이 먹던 추억이 아직도 생생하네요.
그 길을 다시 걷고 보리밥도 한번 먹어야겠다는 생각을 줄곧 해왔지만 오늘도 그 약속을 지키지 못했고 이번에도 비사리구시, 능견난사, 천자암 쌍향수는 보질 못했습니다.
여행을 마치고 귀가하면 늘 후회스런 생각에 자책하게 되는데 이게 다 버려야 할 욕심 아닌가요?
아무튼 송광사에는 조만간 다시 찾아야 할것 같습니다.
'강바람의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해 푸른 바다와 도째비골해랑전망대, 스카이밸리, 묵호등대, 논골담길 (0) 2021.09.18 당진 장고항에서 떠난 1박2일 화성 국화도 여행 (0) 2021.09.08 (2) 전남 여수, 고흥, 순천여행 --- 다도해를 건너 여수에서 고흥으로 (0) 2021.08.27 (1) 전남 여수, 고흥, 순천여행 --- 여수항, 오동도 일원 (0) 2021.08.27 공릉동 구.화랑대역에 조성한 노원불빛정원 (0) 2021.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