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예쁜 화구호를 가진 한림읍의 금오름.강바람의 국내여행 2021. 11. 28. 09:46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1번지에 위치한 금오름은 서부 중산간지역의 대표적인 오름중 하나.
금악오름 혹은 거문오름이라고도 불리는 금오름은 표고 427.5m, 비고 178m, 둘레 2,861m, 분화구 바깥들레 1,200m나 되니 비교적 높고 작지않은 크기인데요.
산정부에 대형의 원형 분화구와 산정화구호를 갖는 기생화산체이며, 남북으로 2개의 봉우리가 동서의 낮은 안부로 이어지며 원형의 분화구를(깊이 52m)를 이루고 있습니다.
금오름은 동그랗게 예쁜 분화구도 볼만하지만 화구호 아래로 내려가 직접 살펴볼수도 있고 분화구둘레길에서 바라보는 일망무제의 조망은 더욱 뛰어 납니다.
밑에서 올려다 보니 패러글라이딩들이 오름 위를 날아다녀 무척 낭만적으로 보였는데요.
그런데 이는 오름체험을 위해 유료로 운영하는 패러글라이딩이었습니다.
체험신청자들을 태운 차량들이 분주하게 비좁은 급경사 길을 달리니 탐방객들이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환경도 저해하여 눈쌀을 찌푸리게 하네요.
이렇게 위험한걸 누가 허가해 주었나요?
적당한 곳으로 옮겨 탐방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묘책을 기대해 봅니다.
제주 한경면에 위치한 금오름을 찾아 갑니다.
제주 서쪽의 오름를 대표하는 금오름.
아쉽게도 정상에 통신시설이 있지만 그 덕분에 눈에 확 들어오는 오름이지요.
금오름은 분화구가 아름다워 탐방객이 많이 찾는 오름중 하나.
입구에 있는 샘은 옛부터 자주 말라서 생이(새)나 먹는 물이라고 해서 생이못.
제주시 한림읍 금악히 산1-1번지에 위치한 금오름은 서부 중산간지역의 대표적인 오름중 하나.
산정부에 대형의 원형 분화구와 산정화구호를 갖는 신기의 기생화산체이며, 남북으로 2개의 봉우리가 동서의 낮은 안부로 이어지며 원형의 분화구를(깊이 52m)를 이루고 있다는 설명.
처음에는 울창한 삼나무 숲길.
차량들이 분주하게 오가는 경사길을 15분 정도 오르니,
드디어 분화구가 나타나며 탁트인 조망을 보여줍니다.
금오름에서 바라보면 일망무제.
한라산을 비롯하여 새별오름, 저지오름, 정물오름 등 사방을 모두 조망할수 있지요.
일단 기념촬영부터 하자구요~~!!
오호, 아름다운 분화구네요~~!!
부드러운 분화구 능선에 감싸여 포근하게 자리한 금오름 화구호.
분화구 내의 산정화구호(일명 今岳潭)에는 예전 풍부한 수량을 갖고 있었으나 현재는 마른 상태.
붐화구 주위에는 억새도 장관.
금오름 정상의 KBS중계시설.
정상(427.5m)에 올라 바라본 서쪽의 한경면과 저지오름 일대.
남동쪽의 정물오름과 도너리오름 일대.
북쪽의 애월 방향.
동쪽의 한라산 방향의 여러 오름들.
다시 바라봐도 아름다운 금오름 화구호.
아늑한 저 곳에 예전처럼 다시 물이 고였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 봅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으니 옛부터 신성시 하는 금오름, 금악오름, 거문오름이라는 이름을 가졌나 보네요.
사방을 조망하며 분화구 둘레길을 걸어,
중계시설 맞은편의 북쪽 둘레길을 걸으니,
북쪽 언덕에는 산림초소.
금오름 북쪽 정상부에도 일본군 동굴진지가 있었네요.
태평양전쟁 당시 서북쪽을 향해 파놓은 일본군 동굴진지.
오래되어 내부가 허물어지고 있는 상태.
금오름에는 수많은 동굴진지가 만들어졌으나 2개만 남겨놓고 모두 메꾸었다고.
금오름에서 내려다 본 한림읍 금악리 전경.
금오름에서 조망되는 서북쪽 방향의 한림과 비양도.
금오름에서 유료로 체험하는 패러글라이딩.
제주시 한림읍 금악히 산1-1번지에 위치한 금오름은 서부 중산간지역의 대표적인 오름중 하나.
'강바람의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빛 억새가 장관을 이룬 새별오름. (0) 2021.11.28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에 있는 당오름. (0) 2021.11.28 세계적인 수성화산체의 보고,수월봉(녹고물오름). (0) 2021.11.28 한라산둘레길(돌오름길 B코스) (0) 2021.11.28 맑고 깨끗한 생명수가 있는 정물오름. (0) 2021.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