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진강변의 옛 이야기들(1) --- 호로고루, 승전 OP, 김신조 침투로.강바람의 유적답사 2015. 4. 5. 18:57
2015.4/4(토), 실로 오랫만에 최북단 임진강변을 다녀 왔습니다.
휴전선과 지척인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 임진강 일대는 옛 유적지가 산재하여 역사의식을 갖고 답사하기에 아주 좋지요.
주마간산격으로 호로고루, 승전OP, 김신조 침투로, 경순왕릉, 숭의전, 당포성까지 삼국시대부터 근세까지의 옛 이야기를 찾아 떠난 여행.
우선 첫편은 호로고루(城), 승전OP, 김신조침투로를 소개합니다.
호로고루(사적 제467호)는 고구려 평양성과 백제 한성을 연결하는 간선도로상에 있을뿐만 아니라 말을 타고 직접 임진강을 건너는 길목을 지킬수 있어 고구려의 남쪽 방어성중에서 가장 중요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6.25 사변때에는 북괴의 주력 탱크부대가 호로고루에서 전면으로 바라보이는 고랑포의 여울을 건너 불시에 침략했다고 하지요.
호로고루는 수년전 발굴조사 이후 현재는 말끔하게 정비되어 답사하기에 아주 좋더군요.
* 적성에서 임진강을 건너면 최북단 접경지역인 연천군 장남면.
장남면에 위치한 임진강변의 고구려 성곽인 호로고루를 찾아 갑니다 (왼편은 파주시 적성의 감악산.675m).
* 임진강변 천혜의 절벽을 이용하여 축성한 철옹성 호로고루(사진 중앙의 절벽위).
6세기 중엽이후 7세기 후반까지 고구려는 약 120여년 동안 임진강을 남쪽 국경으로 삼아 방어에 만전을 기하였습니다.
* 호로고루에서 바라본 임진강과 고랑포구.
전면의 고랑포는 6.25 사변전까지만 해도 번창하던 도시가 있었던 곳이지요.
서해에서 배가 드나드는 포구가 있어 내륙에 물자를 공급하던 인구 3만 이상이 살던 도시였다고 하는데 전쟁통에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 근래 말끔하게 정비된 호로고루(城)의 위용.
성의 둘레는 400m로 크지않지만 남쪽에 임진강, 북쪽에 지천이 있고 현무암 절벽이 높아 자연성벽으로 이용하였으며
평야로 이어지는 동쪽에만 너비 40m, 높이 10m, 길이 90m 정도의 성을 쌓아 삼각형 모양의 성곽을 조성하였습니다.
* 십수년전 발굴결과 모습을 드러낸 동측 성벽.
* 호로고루 상단에서 바라본 임진강.
* 동쪽에는 넓은 평야너머로 감악산(675m), 남쪽(오른쪽 산)에는 김신조가 침투루트로 사용했던 파평산(496m)이 보입니다.
* 다음은 휴전선 일대를 조망하기 위해 승전OP(산위의 건물)를 찾아 갑니다.
OP방문은 출입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조금 어려울수도 있지요. ㅎㅎ
* 고랑포를 지키는 늠름한 25사단 72연대의 승전OP.
OP장교로 부터 브리핑을 받은후 망원경으로 휴전선 일대를 살펴볼수 있는 기회를 가졌는데요.
서쪽으로 보이는 낮은 구릉지는 북한의 개성과 바로 연결된다고 하는데 지대가 비교적 평탄하다 보니
6.25사변때는 북괴의 주력 탱크부대가 이곳을 통해 쳐들어 왔고 1968년에는 무장공비 김신조 일당도 같은 코스로 침투하였다고 합니다.
* 승전OP를 내려와 약 2km 거리에 위치한 무장공비 김신조 침투로를 찾아 갑니다.
앞에 보이는 얕으막한 구릉지가 무장공비 김신조 일당이 침투한 지역.
* 1968년, 124군 부대 김신조 등 무장공비 31명이 침투한 고랑포.
* 무장공비들은 청와대 기습폭파와 요인암살을 목적으로
1968.1/17 출발하여 이곳 고랑포의 철책을 통과한후 임진강을 건너고 파평산, 남노고산, 비봉을 거쳐
1/21 서울에 도착, 자하문에서 발각되어 전투를 벌이게 된겁니다.
* 남쪽으로 바라보이는 파평산(496m).
무장공비들은 1/19. 14:00, 파평산에서 숙영중 나무하러 온 우씨 3형제와 조우하게 되고 그날 밤에 그들의 신고로 정체가 드러나게 된겁니다.
5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지만 당시를 생각해보면 아직도 아찔한 생각이 듭니다.
안보태세 확립, 철통경비 만전!!
'강바람의 유적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강변의 옛 이야기들(3) --- 당포성(堂浦城) (0) 2015.04.06 임진강변의 옛 이야기들(2) --- 경순왕릉, 고랑포구, 숭의전 (0) 2015.04.05 임진강변의 고구려성 --- 연천 호로고루성(城) (0) 2015.02.23 임진강변의 고구려성 --- 연천 당포성(堂浦城) (0) 2015.02.22 용인에 위치한 포은 정몽주(鄭夢周)선생 묘소 탐방기 (0) 201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