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산 의상능선에 있는 715봉의 이름은 “가사봉”으로 확인.강바람의 산행일기 2019. 5. 15. 22:46
의상능선의 여러 암봉을 연구중 아직 이름이 없던 715봉이 “가사봉(袈裟峰)”임을 확인하였습니다.
715봉은 문수봉, 청수동암문 북쪽에 있는 산으로 상원봉으로 능선이 뻗어가는 제법 크고 높은 산입니다.
현재 의상능선에는 8개의 암봉이 있는데 산성탐방지원쎈터부터 대남문 방향으로 이름을 말씀드리자면 의상봉,(502), 용출봉(571), 용혈봉(581), 증취봉(593), 나월봉(651), 나한봉(681), 715봉, 문수봉(729)이며
715봉을 제외하고 정상에는 이미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설치한 산이름 팻말이 잘 설치되어 있지요.
이는 본인이 1994년에 발행한「북한산성」책자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한 것이고 산악계에서도 그대로 통용되는 산이름입니다.
그런데 유독 715봉에 대한 이름이 없는건 승 성능이 저술한 「북한지」에 715봉에 대한 기록이 없으므로 높은 산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름도 없고 아무 팻말도 없이 지내온 건 참으로 유감스러운 일인데요.
그런데 옛 기록을 확인중 715봉에 대한 산이름을 찾아내었습니다.
정조실록(정조9년6월17일), “북한산성 안찰어사 신기(申耆)의 서계”에 의하면
「 --- 수구에서 대서문으로 돌아 솟아올라 의상봉이 되었고, 의상봉에서 용출봉, 용혈봉, 시루봉(증봉), 나한봉, 가사봉을 거쳐 문수봉의 높고 깎아지른 곳에 이르러 성이 끊겼으며, 협곡을 지난간 곳에 성을 쌓았습니다.
의상봉과 용출봉 사이에는 국녕사의 암문이요, 시루봉(증봉)과 나한봉 사이에는 원각사의 암문이며, 가사봉과 문수봉 사이에는 가사암문이요, 문수봉 오른쪽에 문수봉의 암문이 있는데. 지금은 대남문이 되었으며 --- 」
이 글을 음미해 보면
(1) 나한봉 다음은 가사봉, 그 다음은 문수봉이며,
(2) 가사암문은 청수동암문의 별칭이며 암문 아래위에 가사봉과 문수봉이 있었음을 확인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요청하여
조선왕조실록에 의거한 고증으로 찾아낸 산이름이니 앞으로 “가사봉”이라는 고유의 이름이 정착될수 있도록 715봉 정상에 산이름 팻말을 설치하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사진 1(715봉 모습), 사진 2(신기의 서계 국역)
* 앞으로 "가사봉"이라는 새 이름이 붙을 715봉.
* “북한산성 안찰어사 신기(申耆)의 서계”
'강바람의 산행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 비봉능선을 오르다. (0) 2019.08.11 무더위속에 찾은 북한산성 북문, 상운사. (0) 2019.08.09 (2) 북한산 의상능선을 오르다 --- 증취봉~나월봉~나한봉~문수봉~구기분소 (0) 2019.05.12 (1) 북한산 의상능선을 오르다 --- 산성분소~의상봉~용출봉~용혈봉 (0) 2019.05.11 (3) 부산의 등줄, 금정산맥 종주산행기 --- 만덕고개~금정산성 남문~상계봉~동문~대륙봉~제4망루~북문~금샘~고당봉~범어사 (0) 2018.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