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광릉숲 둘레길 제1코스, "옛사랑길" 13km를 걷다 --- 남양주 진접중학교~봉영사~별내면주민센터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1. 6. 1. 09:06
2021.5/30(일) 실로 감격리에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둘레길 제1코스를 걸었습니다.
광릉숲을 중심으로 천겸산, 용암산, 죽엽산 등 보전지역의 언저리를 도는 8개 코스 60km의 둘레길을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둘레길이라고 하는데요.
생물권보전지역이란 1971년 UNESCO 인간과 생물권계획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통해 지역민이 다양한 혜택을 얻고, 이 이익을 다시 생물다양성 보전에 활용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지정한 뛰어난 생태계지역을 말합니다.
둘레길을 따라 원시림을 방불케 하는 숲이 있고 경관 또한 빼어나니 생전에 꼭 걸어야 할 코스!
8개 코스를 요약하면,
1코스 : "옛사랑길" 13.0km. (진접중학교~봉영사~풍양초교~별내면주민센터).
2코스 : "중말고갯길" 7.0km. (별내면주민센터~깃대봉~비루고개~무지랭이약수터).
3코스 : "용암산정상길" 3.1km. (무지랭이약수터~무림리 내루골).
4코스 : "고모리산성길" 5.6km. (무림리 내루골~고모리산성터~비득재).
5코스 : "왕숙천물내음길" 8.4km. (마명1리마을회관~팔야리~진접중학교).
6코스 : "죽엽산길" 7.4km. (비득재~마명1리마을회관) * 미조성구간
7코스 : "산림욕길" 7.7km. (생태습지~광릉수목원~직동삼거리~이곡초교).
8코스 : "고모리길" 2.6km. (비득재~직동삼거리).
오늘 성공리에 첫발을 내딛은 1코스 "옛사랑길"은 약 13km 거리.
코스는 남양주시 진접중학교~봉영사~풍양초교~별내면주민센터까지 남쪽을 향해 구불구불, 오르락내리락하며 능선길을 걷고 산을 넘는 결코 쉽지않은 여정이더군요.
수십년 동안 남양주 진접읍 장현리, 내각리의 산들을 차창으로만 바라보며 산위에 등산로가 있는지, 산너머가 어디인지 늘 궁금했고 꼭 등산을 하며 밟아 보고 싶었는데 오늘 기어히 소원을 풀고 말았네요.
걷는 코스마다 원시림을 방불케 할 정도로 산림이 울창하여 황홀경인데 야산을 넘으면 마을이 나타나고 다시 야산을 넘으면 또다른 마을이 나타나고 하니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는듯 감격 그 자체네요.
그러나 아쉬움도 남네요.
둘레길 주변이 광릉시험림, 문화재보호구역, 군사지역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여 철책을 두르니 그 덕에 산림은 잘 보호되지만 자유롭게 다닐수가 없는 실정.
특히 광릉시험림은 북쪽의 죽엽산(615m)부터 용암산(475m), 천겸산(391m)까지 아우르는 광활한 지역인데 서로 능선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사람이 갈수가 없으니 이해는 충분히 하지만 그 점이 아쉽다는 거지요.
그렇지만 가장 아름다운 광릉숲둘레길을 걸으며 가장 후련하고 황홀한 하루를 보낸갓 같습니다.
제2코스가 기대됩니다~~!!
* 대중교통편을 잘 이용하여 집에서 2시간만에 남양주시 진접읍에 도착! * 09:50, 드디어 진접중학교 입구에서 대망의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둘레길 제1코스 출~발~~!! * 오늘 처음 걷는 제1코스는 "옛사랑길"로 약 13km. *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에 조성한 둘레길은 대부분 핵심지역을 걷게 만든 8개 코스. * 낯설고물설은 진접중학교(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15-1) 옆길을 따라, * 진접중학교, 삼성유치원을 지나 계속 오르니, * 오른편으로 광릉연구시험림 울타리 곁에서 약수터 발견! * 깜짝 놀랄 정도로 우거진 밀림속으로 들어서니, * 광릉연구시험림의 울타리 곳곳에 붙어 있는 입산통제프래카드. * 오호, 얼마만에 보는 원시림인가요~~!! * 낮으막한 고개를 넘으니, * 도대체 방향도 알수없는 밀림너머로 보이는 산은 수리봉(536m)인듯. * 들뜬 마음으로 황홀한 숲길을 걸으니, * 이정목과 표지판을 잘 설치해 놓은 광릉숲둘레길. * 능선에 올라서니 동쪽으로 보이는 장쾌한 철마산(709m) 능선. * 곳곳에 잘 설치해 놓은 광릉숲둘레길 이정목. * 남쪽으로 능선길을 걸으니 나타나는 영빈묘 울타리. 영빈묘는 조선 제19대 숙종의 후궁 영빈김씨의 묘소로 현재는 비공개중. 20년 전 즈음에 영빈묘를 답사한 적이 있었는데 그후 울타리를 치고 철저히 외부공개를 막고 있어 아쉬움이 크네요. * 11:00, 야산 능선길을 걸어 영빈묘 울타리를 내려서면 나타나는 광릉숲둘레길 안내판. * 진접읍 장현리의 주택가 평지길을 조금 걸으면, * 장현천 위의 장현교를 건너면 다시 숲길로 접어 들지요. * 멧돼지 주의표지판을 보며 2번째 야산을 오르려니, * 역시 울창한 숲이 수목원에 온듯.ㅎㅎ * 11:30, 야산의 등산로를 잘 걸어 내려서니 남쪽으로 보이는 풍양마을 길훈아파트. * 길훈아파트 오른쪽의 장현리 주택가를 지나 경사진 언덕길을 오르니, * 이젠 3번째로 천겸산 능선을 오를 차례. 출발지에서 4.5km 거리이니 남은 구간은 약 8.5km. * 깊은 숲길은 천겸산(391m) 동쪽 자락길. * 천겸산 일대도 국립수목원시험림으로 입산통제구역. * 천겸산 능선에 올라서니 KBS진접중계소. 중계소를 끼고 올라가면 천겸산인데 광릉숲시험림이라 입산금지 상태. * 살다살다 이렇게 깊고 울창한 숲속은 처음이여~~!! * 컵라면으로 요기를 한 후 경사진 언덕길을 내려 가니, * 드디어 내각리가 보이며 건너편 왼쪽의 높은 산은 퇴뫼산(370m). 앞으로 내각리 마을을 지나 퇴뫼산 오른편 잣고개를 경유, 별내면으로 넘어가게 되지요. * 하산하면서 바라본 천겸산(391m). 워낙 어머니의 품처럼 포근하여 내각리는 물론 봉영사와 순강원을 감싸고 있는 모습입니다. * 13:00, 천겸산 자락을 내려서면 나타나는 광릉숲둘레길 안내판. 거리로 보면 출발지에서 6.4km이니 3시간만에 전체의 절반 정도 걸었네요. * 천겸산 자락길을 마치고 이젠 내각리 마을을 통해 봉영사, 순강원를 답사할 차례. * 역사와 전통이 빛나는 진접읍 내각리! 옛집들이 거의 사라지며 아파트 단지로 변하고 있네요. * 역사 깊은 내각리를 웅변하고 있는 400년 느티나무. 옛날부터 순강원, 봉영사를 찾던 사람들, 오가는 마을 사람들이 쉬어갔을테니 정말 귀한 나무네요. * 옛날 풍양궁이 있던 터가 있어 지금도 대궐터라는 이름이 회자되고 있는 내각리. * 내각리 마을을 지나 고찰 봉영사를 찾아 갑니다. * 13:50, 천겸산 남쪽에 포근하게 자리한 고찰 봉영사에 도착! * 고찰 봉영사(奉永寺)는 인근에 순강원이 생기면서 인빈김씨의 명복을 비는 원찰로 삼은 역사가 있는데 자리하고 있는 터 자체가 워낙 포근하여 예사롭지 않아 보입니다. * 한편 절에 있는 현판의 천점산(泉岾山)은 달고 맛있는 약수가 있어 붙은 말이라는데 실지로 절 앞에 있는 약수터에는 사람들로 북적! * 봉영사 무량수전 안에 모셔진 아미타부처님. * 봉영사에서 조금만 가면 순강원. 순강원(順康園)은 선조의 후궁이자 원종의 사친인 인빈김씨(1555~1613)의 묘. 선조,인빈김씨 → 원종(추존) → 인조. * 순강원은 예전에 몇차례 답사한적이 있었는데 지금은 담장 너머로 재실만 보일뿐 비공개지역. 역사 깊은 진접읍 내각리에는 순강원, 봉영사 외에 풍양궁(豊壤宮)이라는 이궁이 있었습니다.
풍양궁(豊壤宮)은 조선 초기 1401년(태종 원년)에 설치한 이궁으로 동이궁(東離宮)이라고도 불렸는데
당시에는 도성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풍양궁, 서쪽에는 연희궁, 남쪽에는 낙천정 등 3개의 이궁이 있었다고 합니다.
풍양궁은 세종실록지리지 양주도호부조에 "양주의 동남쪽에 있으며 곧 풍양현의 옛터이며, 또한 태종이 거동하여 계시던 곳"이라고 하였는데
태종은 풍양궁에 자주 거동하여 여름을 나기도 하고 매사냥을 하거나 고기잡이를 구경하는걸 무척 즐겼다고.
그도그럴것이 예전의 내각리 앞 왕숙천 일대는 뚝섬 살곶이벌처럼 밤섬을 비롯하여 너른 습지였을테니 경관이 뛰어나 왕의 여름별장지는 물론 사냥터로 제격이었을 겁니다.
또한 중종대에는 광릉 참배를 위해 행차시 왕이 머무는 대주정(大晝停)으로 사용하였으며, 거국적인 군사훈련이 실시되는 강무장으로 자주 이용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1696년(숙종 24)의 기록에 의하면 풍양궁은 터만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때 불타 버린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정확한 터 위치는 모호한 실정입니다.
영조는 1755년(영조 31) 옛 궁궐터에 아무런 표시가 없는 것은 잘못이라고 하여 친히 비의 앞면에 "太祖大王在上王時舊闕遺址"라고 써서 태조 이성계가 상왕으로 계실때 머물던 궁궐터임을 알렸습니다.
고종은 1906년(광무 10)에 비를 추가로 세우고 비각을 중건하도록 명하여, 현재 비각 안에는 2개의 비가 나란히 세워져 있습니다
비의 내용으로 볼때 영조가 풍양궁터에 세운 구궐유지비는 태종이 세운 이궁에 태조 이성계가 상왕 시절에 거처하였음을 기록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태조 이성계는 1402년(태종 2) 자신이 사랑하던 방석과 방번이 참변을 당하자 태종을 미워하며 함흥으로 떠났으며,
4년만에 박순(朴淳)의 충언에 감동받아 한양으로 돌아오는 길에 이곳에 머무르며 움직이지 않자 내각(內閣)들이 모셔간 일이 있었습니다.
태조 이성계가 방원에게 화살을 날린 곳은 뚝섬 살곶이벌이 아니라 이곳 내각리의 풍양궁일수도 있다는 생각을 잠시 해 봅니다.
* 내각리 주택가 안에서 만나는 풍양궁(豊壤宮) 구궐유지비(舊闕遺址碑) 비각. * 풍양궁은 조선 초기 1401년(태종 원년)에 설치된 이궁으로 임진왜란때 소실된 것으로 추정되며 궁궐터가 구체적으로 어디였는지는 모호한 실정. * 풍양초등학교 뒷편의 궐터천의 대궐교를 건너면 퇴뫼산으로 오르는 길. * 전면의 퇴뫼산 능선의 잣고개를 넘으면 별내면. * 4시간 동안 10km를 걸었고 퇴뫼산 능선을 넘어 최종도착지까지는 3km. * 이번까지 4번째로 산을 오를 차례인데 제법 경사가 심하네요.ㅎㅎ * 뒤돌아보니 천마산(812m)에서 철마산(709m)까지의 능선이 실로 대단합니다. * 승마연습장의 백마가 나를 보더니 놀라는 기색.ㅎㅎ! * 14:50, 5시간만에 이제 마지막 남은 힘을 쏟아 최후의 고지를 넘을 순간. * 구불구불, 오르락내리락 13km나 되는 광릉숲둘레길 1코스도 얼마 남지 않았네요.ㅎㅎ * 경사가 제법 심한 퇴뫼산 능선 오름길. * 가까스로 능선에 오르니 갈림길. 오른쪽으로 가면 정코스이나 왼편의 퇴뫼산 정상까지는 0.6km 이정표. * 퇴뫼산은 부근에서 가장 높고 산성터도 있으며 조망까지 시원하다니 코스에서 벗어나지만 꼭 다녀 오기로.ㅎㅎ * 퇴뫼산에 가까우니 계단 좌우로 산성터 흔적이 보이기 시작. * 퇴뫼산 정상부의 무너진 산성터. 퇴뫼산 산성은 삼국시대때 쌓은 것으로 포천, 한양을 연결하는 옛길이 지나던 퇴계원 일대를 지키기 위해 쌓은 산성으로 추정됩니다. * 역사를 말해주는 산성터 위의 노거수. * 15:30, 오늘 둘레길중 가장 높은 지점인 퇴뫼산(372m) 등정 성공! * 퇴뫼산에서 서쪽으로 바라본 수락산 능선과 그 너머로 북한산 능선. * 동북쪽으로 광릉내 너머 주금산(813m). * 퇴뫼산 정상에서 뿌듯한 기념촬영! * 퇴뫼산에서 길을 되돌아 걸으니 잣고개. * 잣고개를 내려서니 별내면에 접어들며 마지막 둘레길 안내판. * 동물보호용 울타리 철문을 열고 나서면, * 남양주 에코랜드가 나타나며 전면에 수락산이 우뚝! * 에코랜드에서는 남양주, 구리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처리하며 상부에는 주민체육시설과 공원. * 16:30, 6시간 여만에 드디어 별내면주민센터에 도착하여 오늘 광릉숲둘레길 1코스 마감~~!! '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광릉숲 둘레길 제3, 4, 8코스를 걷다 --- 의정부 무지랭이약수터~포천 이곡초교~비득재~직동삼거리 (0) 2021.06.06 (2) 광릉숲 둘레길 제2코스 "중말고갯길" 7km를 걷다 --- 남양주 별내면주민센터~의정부 무지랭이약수터 (0) 2021.06.06 수원박물관, 봉녕사, 광교호수를 따라 수원팔색길을 다시 걷다 (0) 2021.05.31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둘레길을 걷자~! (0) 2021.05.21 수원팔색길 8코스, 화성성곽길 5.1km를 걷다 (0) 2021.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