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왕산에 등정하며 한양도성을 답사하다.강바람의 유적답사 2020. 10. 12. 20:15
날씨가 워낙 좋아 칠궁 답사후 인왕산에 올랐습니다.
인왕산(仁王山, 338.2m)은 서울의 진산중 하나로 조선이 건국하여 도성을 세울때에 우백호(右白虎)로 삼았었지요.
그동안 인왕산엔 등산을 위해, 한양도성을 답사하기 위해, 선바위 등 유적답사를 위해, 야경사진을 찍기 위해 수도 없이 올랐는데요.
어렸을때 부터 멀리서 바라만 보던중 1968년 1.21 사태 이후 출입이 통제되었다가 1993년, 25년만에 다시 개방되었을때는 제일 먼저 등정하는 기쁨을 맛보기도 했지요.
그동안 신비의 산이었던 인왕산엔 1993년 처음 올랐던것 같습니다.ㅎㅎ
오늘은 창의문로를 걸어 자하문 고개에서 한양도성을 따라 인왕산에 올랐다가 무악동 방향으로 하산하였습니다.
쾌청한 좋은 날씨에 유적답사도 하고 등산도 하는 즐거운 하루였습니다.
* 칠궁 답사후 창의문로를 걸어 인왕산에 오르기로! * 칠궁 윗쪽의 삼거리는 1968년 김신조 일당의 무장공비가 침투하였을때 최규식 종로경찰서장, 정종수 경사가 공비들을 육탄으로 저지하다가 순국한 곳. * 1968.1.21 이곳이 뚫렸으면 청와대는 어찌되었을지 눈 앞이 캄캄하네요. * 경복고등학교 앞 창의문로를 따라 걸으니, * 왼편으로 인왕산이 잘 보일 즈음, * 자하문 고개에 있는 최규식 경무관 동상. 마지막까지 투철한 사명감으로 임무를 완수한 최 경무관에게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 옆에는 정종수 경사의 순직비와 흉상. 이 분들이 아니었으면 정말 큰일날뻔 했습니다. 백번 감사드립니다. * 자하문 고개에 서있는 창의문(보물 제1881호). 서울성곽 4소문중 하나로 서북쪽에 사는 민초들이 성안으로 넘나들던 주요 길목이었지요. * 창의문 홍예종석에 새겨진 봉황 아니면 닭? 속설에 의하면 창의문 밖 지형이 지네처럼 생겼으므로 지네의 천적인 닭을 새겨 넣은것이라고. * 성곽 바깥쪽에 달려 있는 창의문 현판. * 창의문에서 한양도성을 만나 윤동주시인의 언덕으로 올라가는 모습. * 언덕에서 바라본 시원한 조망. * 윤동주시인의 언덕을 둘러본 후, * 인왕스카이웨이를 건너면 등산로 시작!, * 인왕산지도를 참고한 후, * 오호, 한양도성 성첩(여장)의 옛 모습이 잘 남아 있네요. * 북악산도 잘 보이고. 북악산도 수없이 올랐지만 볼때마다 새롭습니다. * 성첩의 성돌에 새겨 넣은 각자성석. 완벽을 기하고자 성을 쌓은 시기와 책임자 이름이 새겨져 있지요. * 인왕산에 남아 있는 옛 성곽은 약 200년전인 순조 6년(1806)에 쌓은 것인데 무척 높고 견고한 모습. * 성곽을 따라 가파른 경사길을 오르면, * 시야가 트이며 북쪽으로 보현봉, 문수봉, 승가봉, 비봉, 향로봉 등 북한산 줄기가 시원하게 바라 보입니다. * 어느덧 정상에 가까운 치마바위. 치마처럼 생긴 이 바위는 쫓겨난 중종의 첫 왕비인 단경왕후의 애틋한 사연이 깃들여 있지요. * 서울도심이 잘 보이고 바로 아래는 서촌. * 멀리 아차산, 남한산성까지 잘 보이는 서울 풍경. * 북쪽으로는 기차바위 뒤로 북한산 능선까지. * 산 아래 서대문, 은평구 방향. * 인왕산 정상이 지척에~! * 정상부 계단을 오르며 바라본 북악산과 청와대 방향. * 북악산과 연결된 경복궁, 창덕궁 방향. * 드디어 정상이 눈앞에! * 인왕산 정상 기념사진은 필수! * 정상에서 서울 시내도 실컷 바라보고, * 고개 돌려 바라본 마포구 그리고 한강 너머 강서구와 계양산. * 다시 보는 북한산 비봉능선. * 자세하게 바라본 경복궁. 그렇게 복원을 했어도 아직 빈 자리가 많으네요. * 이제부터는 조심스런 하산길. * 성곽을 따라 경희궁 방향으로 하산하기로. * 그래도 선바위는 잠깐 봐양지요. * 선바위 바위틈에서 사는 비둘기들. * 인왕산 국사당(國師堂). 원래 남산 정상에 있다가 1925년 일제가 아래에 조선신궁을 지으면서 인왕산으로 옮겨 왔지요. * 원래 국사당은 나라에서 남산을 신격화한 목멱대왕(木覓大王)에게 제사 지내던 곳. * 한양도성을 따라 걷는 인왕산 등정은 무악동에서 마무리! '강바람의 유적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희궁(慶熙宮)의 옛 터는 '종로구 신문로2가' 행정구역과 대부분 일치. (1) 2020.10.18 하남 이성산성(二聖山城)을 답사하다 (0) 2020.10.15 왕을 낳은 일곱 후궁의 신주를 모신 칠궁(七宮) 답사기 (0) 2020.10.11 남양주 광릉, 봉선사를 답사하고 광릉숲길을 걷다. (0) 2020.10.09 (2) 남한산성(南漢山城) 일주 답사기 --- 수어장대~서문~연주봉옹성~북문~동장대터~장경사신지옹성~동문 (0) 2020.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