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양주 와부읍, 좌의정 이세백(李世白) 묘소 답사기.강바람의 유적답사 2016. 1. 23. 22:58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에는 조선 중기때 좌의정, 우의정을 역임한 이세백(李世白) 선생의 묘소가 있습니다.
이세백(1635~1703) 선생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중경(仲庚), 호는 우사(雩沙) 또는 북계(北溪).
묘소는 도곡리, 어룡(魚龍)마을의 뒷편의 작은 언덕을 넘으면 넓은 평지에 왕릉처럼 크게 조성되어 예사롭지 않아 보입니다.
과수원 언덕에 정교하고 우람하게 서있는 신도비, 중후한 모양새를 갖춘 묘갈, 규모가 큰 봉분과 함께 울창한 송림에 있는 모습이 고고한 학을 대하는 것 처럼 신선해 보입니다.
백과사전에 의하면 이세백 선생은
『1657년(효종 8) 진사시에 합격해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그 곳에서 송준길(宋浚吉)의 가르침을 받았다. 1666년(현종 7) 의금부도사를 거쳐서 홍천현감에 이르렀다. 1675년(숙종 1)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681년 지평(持平)이 되고 그 뒤 정언(正言)·교리·이조좌랑·집의·동부승지 등을 역임하면서 활발한 언론활동을 하였다. 또 경연에 참가해 강설하니 숙종이 경청했다 한다. 충청도암행어사로 파견되어 백성의 어려움과 관리의 폐단을 보고해 바로잡도록 촉구하기도 하였다. 우승지와 1684년 황해도관찰사를 거쳐, 이듬 해 평안도관찰사로서 선정을 베풀어 그 곳 백성들이 이원익(李元翼)의 사당에 함께 제사하였다.
그 뒤 1687년 수어사와 도승지를 비롯해 공조참판·대사간 등을 거쳐 1689년 기사환국 때에 도승지로 있으면서 송시열(宋時烈)의 유배에 반대하다가 파직되었다.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도승지로 복관되어 선혜청당상·한성부판윤을 거쳐 이듬 해 예조판서가 되었으며, 동지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696년 호조판서를 거쳐, 1697년 이조판서가 되어 특히 지방관의 인사를 엄격히 해 관의 기강을 바로 세우는 데 힘썼다. 관직은 이 밖에도 대사헌·공조판서 등을 두루 거쳤다. 1698년 우의정에 올랐고, 1700년에는 좌의정이 되어 세자부(世子傅)를 겸했으며 인현왕후(仁顯王后)의 국상을 총괄하였다. 아들 의현(宜顯)과 연달아 정승이 된 것으로 유명하였다.
예학(禮學)에 밝아 국가의 중요 예론에 깊이 참여하였다. 특히 노론의 중심 인물로서 소론·남인과의 정치적 대립에서 중요한 몫을 하였다.
문집으로『우사집』이 전한다.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 예봉산, 갑산 아래의 고려대 덕소농장을 둘러보기 위해 와부읍 도곡리, 야산에 올랐습니다.
그런데 갑산 방향의 짙푸른 솔밭 안에 큰 묘소가 보이네요.
그래, 저 묘의 주인을 한번 찾아보자 ~~^^.
* 어룡마을(사진) 뒷편의 언덕을 살짝 넘으니,
* 과수원 언덕에 우람하게 서있는 신도비.
* 키가 2m가 넘고 정교하게 조성된 비석을 확인해 보니 이세백 선생의 신도비.
* 신도비에서 조금 떨어진 솔밭 안에 있는 이세백 선생의 묘소.
*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세백 선생 묘소.
아버지는 목사에 이른 정악(挺岳)이며 아들은 영의정을 지낸 선현(宜顯).
그의 외가(外家) 역시 상당한 명문세가로서 외증조부는 청음 김상헌(金尙憲)이요, 외삼촌은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이며
외사촌은 세상에서 육창(六昌)으로 일컷는 김창집, 창협, 창흡, 창업 등 입니다.
* 봉분은 왕릉을 방불케 하나 전체적으로 위엄있고 절제된 모습.
* 6.25 사변때 총탄을 맞아 탄흔이 가득한 상석.
* 위엄을 갖춘 묘갈도 탄흔으로 만신창이.
6.25 사변 당시 이곳에 중공군이 주둔한 적이 있어 교전으로 인한 아픈 흔적인데요.
묘갈과 반대로 신도비 외관이 말끔한 것은 6.25 사변 당시 쓰러져 땅속에 묻혀 있었기 때문이라고. ㅎㅎ
* "有明朝鮮國左議政 贈諡忠定李公世白之墓, 貞敬夫人迎日鄭氏祔右" 라고 새겨진 묘갈.
* 평지의 솔밭에 조성되어 있는 이세백 선생 묘소.
우아하면서도 단아한 모습으로 아주 신선해 보입니다 ~~^^.
'강바람의 유적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안 안흥성(安興城) 답사기 (0) 2016.05.06 석실서원묘정비(石室書院廟庭碑) 답사기 (0) 2016.02.04 남양주 석실마을의 안동김씨 묘역 답사기. (0) 2016.01.18 남양주 신빈 영월신씨(信嬪 寧越辛氏) 묘역 탐방기. (0) 2016.01.13 남양주 삼패동, 평구마을과 청풍김씨 묘역 탐방 (0) 2015.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