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호남평야의 젖줄, 동진강(東津江) 대탐사(3) --- 부안 백산~김제 죽산~부안 계화간척지강바람의 국내여행 2023. 4. 29. 22:54
(1)편과 (2)편에서는 동진강 발원지 빈시암에서 시작하여 정읍시 산외면, 칠보면, 태인면, 신태인읍을 거치며 탐사를 하였습니다. 이어서 (3)편은 동학농민운동 당시 지휘소가 설치되었던 부안 백산, 김제 죽산면의 하시모토 농장사무소, 계화간척지 등을 둘러보며 동진강 탐사를 마무리한 내용입니다. 새벽에 서울에서 출발하여 아침 9시부터 시작한 동진강 탐사는 오후들어 날씨가 흐려지고 비까지 내리면서 계획했던 1박2일 일정을 도저히 소화할수가 없었는데요. 부득이하게 일정을 당겨 하룻만에 탐사를 마치니 주마간산격이 되고 말았네요. 조만간 추가로 보완탐사를 해보고 싶은 미련이 남습니다. 정읍시 신태인읍 화호리에서 동진강을 건너면 부안땅! 백산과 태인을 이어주는 30번 국도의 군포교에서 바라본 백산(47.4m). 부..
-
호남평야의 젖줄, 동진강(東津江) 대탐사(2) --- 정읍시 태인면 피향정~신태인읍 구마모토 농장터강바람의 국내여행 2023. 4. 29. 22:49
(1)편에서는 동진강 발원지 빈시암에서 시작하여 팽나무교 소수력발전소, 구.운암수력발전소, 김명관고택, 칠보수력발전소, 무성서원 등을 살펴 보았고(2)편은 정읍시 태인면에서 시작합니다.정읍의 옛 이름인 태인에서는 호남제일정인 피향정(披香亭)을 둘러본 후,신태인읍 낙양리에서 호남평야에 농업용수를 보내기 위해 만든 낙양보, 동진강과 정읍천이 만나는 두물머리에 있는 만석보터, 화호리에서 정읍근대역사관, 구마모토 가옥 등을 답사하였는데요.탐관오리의 잘못된 판단으로 민중봉기를 유발하였고 일제의 끝없는 탐욕의 수탈현장을 살피려니 피눈물로 살았을 우리 선조들의 삶에 비통한 마음을 금할길 없더군요.가슴 아픈 동진강 탐사가 되고 말았지만 의미도 매우 큰것 같습니다. 산외면, 칠보면의 산속을 벗어나니 어느덧 끝없이 넓..
-
호남평야의 젖줄, 동진강(東津江) 대탐사(1) --- 정읍 산외면 빈시암~칠보면 무성서원강바람의 국내여행 2023. 4. 29. 22:33
2023.4/28(금) 동진강(東津江)을 탐사하였습니다. 동진강은 전북 정읍, 김제, 부안을 흐르며 우리나라 최대 곡창지대인 호남평야를 적셔 주는데 유로연장은 44.7km에 달하며 강이름은 강 하구에 위치한 부안군 동진면의 동진(東津)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정읍시 산외면 묵방산 7부능선의 빈시암에서 시작된 동진강은 산외면에서 도원천과 만나 몸집을 불린 후 신태인읍에서 정읍천과 합류하여 이평(梨坪, 배들)의 넓은 충적평야를 흐른 뒤 호남평야 남부에서 원평천, 고부천과 만나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황해의 넓은 간석지로 흘러 갑니다. 비옥한 충적평야를 자유곡류하며 흐르던 동진강은 일제강점기 들어 직강공사 등 대규모 치수사업이 실시되면서 그 모습이 크게 바뀌었는데요. 식량수탈을 목적으로 미곡증산계획을 추진한 일제는 ..
-
서산 해미읍성(海美邑城) 답사기강바람의 유적답사 2023. 4. 29. 21:59
2023.4.12(수) 서산 해미읍성을 답사하였습니다. 해미는 천수만의 북쪽 끝에 있는 해안지역으로 왜구의 침입이 잦았던 지역이었는데요. 조선시대 서해안 방어의 군사요충지로 인정되어 충청도의 전군을 지휘하던 충청병마절도사영(忠淸兵馬節度使營)을 이곳으로 옮긴바 있고 1421년(세종 3)에 해미읍성을 쌓았습니다. 1652년(효종 3) 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옮겨간 후 해미현감이 겸영장이 되면서 충청도 5군영중 하나인 호서좌영으로 내포지방 12개 군현의 군권을 지휘한바 있습니다. 해미읍성은 둘레가 1.8km, 높이가 5m, 옹성이 둘, 우물이 여섯개가 있으며 성 둘레에 탱자나무 울이 둘러져 있어 탱자나무성이라고도 불렀다고. 해미를 포함한 내포땅은 일찌기 선진문물이 빨리 전파되는 서해안 지역으로 18세기 말, 천..
-
「옛 사진」 금강(錦江) 답사기 --- (2)충북 영동군 양산8경~대전 대청다목적댐강바람의 국내여행 2023. 4. 22. 10:35
6년전인 2017.1/5(목) 충남 금산군 제원면에서 대전 대청댐까지의 금강 답사기록입니다. 금산군 제원면에서 금강을 만나 충북 영동군 양산면까지의 기록인 (1)편에 이어, (2)편은 양산면에서 대전 대청댐까지의 기록입니다. 동쪽으로 흐르던 금강은 양산8경을 지나면서 급격히 휘어져 북쪽으로 흐릅니다. 산 높고 물 맑은 오지에서 만난 경부선 심천역(深川驛)~~!! 영동 심천에 있는 역사 깊은 경부선 간이역인데 심천역은 1905년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현재의 역사는 1934년 이전 신축되었다고 하며 현재 국가등록문화재 제297호. 오랫동안 영동 사람들의 발이 되어 주었지만 지금은 번성하던 옛 영화를 잃은채 적지않게 애환이 깃든 모습입니다. 미로같은 산속의 좁은 길을 달려 도착한 곳은 경부고속도로 금강휴게소(옥..
-
「옛 사진」 금강(錦江) 답사기 --- (1)충남 금산군 제원면~영동 양산8경강바람의 국내여행 2023. 4. 22. 10:29
벌써 6년이 흘렀네요. 2017.1/5(목) 벼르고벼르던 금강(錦江)을 답사하였습니다. 답사방법은 자동차를 타고, 구간은 충남 금산군 제원면부터 대전 대청댐까지 약 170km 정도. 금강은 전북 장수의 뜬봉샘에서 발원하여 진안, 무주, 금산, 영동, 옥천, 대전, 세종, 공주, 부여를 경유, 군산에서 서해를 만나며 총 길이는 395km. 금강답사는 발원지인 전북 장수의 뜬봉샘부터 해야 하지만 그 전인 2014년에 대청댐에서 군산까지 146km를 자전거로 종주한 적이 있고 금번에 충남, 충북 구간을 하니 향후 발원지 뜬봉샘에서 금산까지 약 80km만 남겨두게 되었습니다. 진작 글을 올려야 했지만 사진상태가 좋지않아 차일피일 미루다가 기억을 되살려 올립니다. 금강은 감탄할 정도로 어려운 물길을 만들어 흐르는..
-
서산 상왕산 개심사(開心寺) 답사기강바람의 유적답사 2023. 4. 22. 09:58
2023.4/12(수) 충남 서산의 상왕산 개심사(開心寺)를 찾았습니다. 개심사는 마음을 씻고 마음을 여는 고찰로 우리에겐 너무나 잘 알려진 절이지요. 백제 말기 654년 혜감선사가 창건한 개심사는 여러차례 중수를 하였지만 현재의 대웅보전과 심검당은 조선 초기의 소중한 건축물. 대웅보전은 높은 돌기단 위의 조선 초기인 1484년에 짓고 여러차례 개수한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맞배지붕 건물이며 심검당(尋劍堂)은 역시 조선 초기에 지은 요사체로 휘어진 나무를 그대로 사용하여 멋스러움을 보여준 보물중의 보물로 손색이 없습니다. 요즘 개심사는 너무나 어수선하여 실망스러운데요. 안양루 앞의 옛 석축을 헐고 새돌로 대규모 석축을 쌓는다고 공사중인데 이 무슨 난리인가요~! 아름드리 고목에 둘러싸인 예쁜..
-
완주 추줄산 위봉사(威鳳寺) 답사기강바람의 유적답사 2023. 4. 20. 21:36
2023.3/29(수)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 있는 위봉사(威鳳寺)를 답사하였습니다. 오랜만에 찾은 위봉사는 깔끔한 청정도량의 면모를 갖춘 모습이었는데요. 위봉사는 주위에 위봉산성(威鳳山城)을 쌓으면서 산성을 지키는 사찰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지요. 위봉산성은 가까운 전주의 경기전에 있는 태조의 어진을 비상시 옮겨 봉안하기 위해 숙종 원년(1675)에 쌓은 대규모 산성으로 내부에는 행궁을 비롯하여 14개의 사찰이 있었다고 합니다. 지금은 산성이 허물어지고 행궁도 사찰도 모두 사라지고 절은 위봉사 한 군데만 남아 있습니다. 위봉사의 역사는 백제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용이 똬리를 틀고 봉황이 날아오르는 형세를 갖추어 위봉이라 하였으며 백제 무왕 5년(604)에 서암대사가 창건했다고 합니다. 고려말에는 나..
-
완주 불명산 화암사(花巖寺) 답사기강바람의 유적답사 2023. 4. 15. 08:06
2023.3/28(화) 전북 완주군의 화암사(花巖寺)를 찾았습니다. 꿈속에서도 가끔 뵈던 절이니 얼마나 걸음하고 싶었을까요! 이른 봄이라 아직 푸르름은 없지만 길가에는 수줍은듯이 피어있는 얼레지꽃이 절에 가는 나그네를 반겨주네요. 위험한 바위벼랑길을 걸어 20년만에 찾은 화암사는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채 아늑하고 고요한 산중의 청정도량 그 자체네요. 절에 이르는 그윽한 숲길과 높다란 바위벼랑길, 성문을 연상시키는 우화루, 백제계 건축을 계승했다는 극락전, 전체적으로 고색창연한 모습이 그림처럼 아름다우니 이런 절은 정말 보배중의 보배로 생각됩니다. 15세기에 쓴 「화암사중창기」에 의하면 극적인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는데요. "절은 고산현 북쪽 불명산 속에 있다. 골짜기가 그윽하고 깊숙하며 봉우리들은 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