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동해 무릉계곡길, 두타산협곡마천루길, 베틀바위산성길을 걷다(2)강바람의 국내여행 2023. 9. 30. 18:30
(1)편의 무릉계곡길에 이어 (2)편은 두타산협곡마천루길, 베틀바위산성길을 걸은 내용입니다. 오늘 걸은 코스를 살펴보면 무릉계곡길은 관리사무소~무릉반석~학소대~쌍폭포~용추폭포까지 약 2.6km. 산허리를 걷는 두타산협곡마천루길(21년 6월 개통)과 연이은 베틀바위산성길(20년 8월 개방)은 용추폭포~마천루~산성12폭포~미륵바위~베틀바위전망대~관리사무소까지 약 4.7km이니 총 걸은 거리는 7.3km가 됩니다. 먼길은 아니지만 산길이라 결코 쉽지않은 코스인데요. 난공불락의 절벽 아래에 개척한 가장 아름다운 코스를 무사히 완주하니 또하나의 쾌거를 이룬 느낌입니다. 동해 두타산 자락과 무릉계곡, 언제봐도 아름답습니다. 용추폭포, 쌍폭포를 본 후 이제는 마천루길, 베틀바위산성길을 걸을 차례~~!! 선녀탕에서 박..
-
동해 두타산 무릉계곡길, 두타산협곡마천루길, 베틀바위산성길을 걷다(1)강바람의 국내여행 2023. 9. 30. 18:21
2023.9/22(금) 동해 망상에서 찬란한 새 아침을 맞았습니다. 푸른 동해의 힘찬 물결을 바라볼수 있는 망상해수욕장은 널리 알려진대로 아름다운 해변이네요. 해변의 캬라반에서 색다른 체험을 하며 잠을 이루니 심신이 상쾌합니다. 오늘은 날씨가 무척 맑으므로 다시 두타산 무릉계곡을 찾기로. 어제 오후에 걸은 코스와 중복되지만 오늘은 무릉계곡길에 이어 두타산협곡마천루길과 베틀바위산성길을 꼭 걸어 아름다운 두타산, 청옥산의 경관을 온 몸으로 즐기기로 다짐. 오늘 걸은 코스를 살펴보면 무릉계곡길은 관리사무소~무릉반석~학소대~쌍폭포~용추폭포까지 약 2.6km. 산허리를 걷는 두타산협곡마천루길과 연이은 베틀바위산성길은 쌍폭포~마천루~산성12폭포~미륵바위~베틀바위전망대~관리사무소까지 4.7km 등 총 7.3km. 난..
-
동해 두타산 무릉계곡길을 걷다강바람의 국내여행 2023. 9. 30. 18:13
정확히 2년만에 다시 동해 무릉계곡(명승 제37호)을 찾아 1박2일을 보냈습니다. 연 사흘동안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렸는데요. 무릉계곡은 물천지네요. 개인적으로 무릉계곡처럼 청정자연을 자랑하며 아름다운 곳은 어디에도 없다는 생각인데 마침 연이어 내린 비로 계곡과 폭포엔 수력발전을 할수있을 정도의 엄청난 물이 쏟아져 내리더군요. 실로 장관이었습니다. 첫날은 날씨가 흐리고 늦은 탓에 무릉반석, 삼화사, 쌍폭포, 용추폭포까지만 다녀오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호암소에서 용추폭포에 이르는 약 4km의 무릉계곡에 선경을 이루며 모두 위치하고 있지요. 오늘 저녁엔 망상에서 숙식하고 내일 또 무릉계곡을 찾을 계획인데요. 맑은 날씨에 마천루길, 베틀바위산성길을 걸으며 잡스러운 생각을 훌훌 털어내고 싶어서지요. 역시 무릉..
-
450여년에 걸쳐 조성된 구리 동구릉(東九陵)강바람의 유적답사 2023. 9. 30. 16:59
구리 동구릉(東九陵)을 답사하였습니다. 사적 제193호인 동구릉은 약 450여년에 걸쳐 조성된 9기의 릉이 모여있는 조선 최대의 왕릉군으로 7명의 왕과 10명의 왕비가 잠들어 있습니다. 1408년(태종 8) 건원릉을 시작으로 릉의 갯수에 따라 동오릉, 동칠릉 등으로 불리다가 1855년(철종 6) 문조의 수릉이 이곳에 옮겨오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으며 맨 마지막으로 묻힌 분은 1904년 경릉에 잠든 헌종의 두번째 왕비인 효정황후 홍씨(1831~1904). 재실 앞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답사하니 수릉, 현릉, 건원릉, 목릉, 휘릉, 원릉, 경릉, 혜릉, 숭릉 순서가 되었는데요. 시대순으로 열거하면 ① 조선 1대 태조 이성계가 잠들어 있는 건원릉(健元陵) ②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현릉(顯陵) ③ 14대 선조..
-
하와이 라하이나(Lahaina)를 추억하다(2014년 사진)강바람의 해외여행 2023. 9. 26. 08:47
2014.4/16(수) 하와이 마우이섬 라하이나를 여행한 적이 있었습니다. 지상낙원이며 여자의 섬, 마법의 섬으로 불리는 마우이섬(Maui Lsland)은 지구 최대의 분화구를 가진 할레아칼라 화산이 있어 더욱 유명하지요. 라하이나(Lahaina)는 마우이섬 북동쪽 해안에 있는 설탕수출항으로, 푸쿠쿠이봉(1,764m)을 등지고 아우아우해협에 면해 있는 아름다운 항구도시입니다. 19세기까지 하와이 산업과 행정의 중심지여서 1820~1844년에는 하와이왕국의 수도였고 도시는 무성한 야자수 숲으로 둘러싸인 가운데 고풍스런 목조건물들이 많이 남아 있었지요. 도시 한복판에 기독교 포교 50주년을 기념하여 1873년에 심은 반얀나무는 하와이에서 가장 큰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2023.8/8(화) 마우이섬..
-
천리 비단내, 금강을 탐사하다(3) --- 무주 앞섬~금산 제원대교강바람의 국내여행 2023. 9. 12. 15:35
금강 탐사 제3편은 전북 무주에서 충남 금산까지의 마지막 여정입니다. 무주에도 앞섬이락는 물돌이 지형이 있었네요. 금강이 휘돌아 나가는 곳에 있는 앞섬은 무주읍 내도리에 있는데 내도리(內島里)는 육지 안의 섬이라는 뜻이고 앞섬은 한자로는 전도(前島)라고 쓰며 안동 하회마을, 예천 회룡포처럼 물돌이 지형으로 손색이 없더군요. 앞섬에서 읍내를 오가던 나루터에서는 1976년 배가 뒤집혀 어린 학생 18명이 목숨을 잃은 안타까운 사건이 있었네요. 지금은 아픔을 잊은채 복숭아, 사과, 인삼농사로 모두 풍족해 보였습니다. 그런데 앞섬마을, 뒷섬마을에서 강물을 따라 계속 탐사하려 했지만 워낙 험한 지형에 길조차 없어 탐사 자체가 불가능했는데요. 차를 타고 여기저기, 우왕좌왕, 먼길을 돌아다니다 보니 나중에는 강 탐사..
-
천리 비단내, 금강을 탐사하다(2) --- 진안 용담호~용담섬바위~각시바위~무주 남대천강바람의 국내여행 2023. 9. 12. 15:24
금강 탐사 제2편은 진안 용담호에서 무주 남대천까지의 여정입니다. 금강 상류에 거대한 담수호를 만든 진안 용담댐.2001년, 용담댐이 건설되어 생긴 용담호는 진안의 1읍, 5면, 68개 마을이 수몰되었으나 다목적댐의 건설로 혜택도 무척 크다고.용담면에는 금강을 걷는 감동벼룻길이 있더군요.감동벼룻길은 아름다운 진안 금강변의 용담댐, 섬바위 일대를 걷는 길로 진안고원길 11-1구간이라고 하네요.시간내어 이 길을 걸으며 진안 금강변의 풍광을 즐기고 싶네요. 무주군에 들어서면서 금강은 더욱 절묘하게 구불구불 흘러 가네요.특히 부남면은 깊은 산중에 면사무소, 초등학교와 중학교, 대소마을이 있어 마을이 크고 사람도 많이 살고 있으니 몇십년 전만해도 주위에 사는 어린이들이 5리, 10리 강변길을 걷고 산을 넘어 학교..
-
천리 비단내, 금강을 탐사하다(1) --- 장수 뜬봉샘~죽도~진안 용담호강바람의 국내여행 2023. 9. 12. 15:14
2023.9/7(목) 천리 비단내, 금강을 탐사하였습니다. 금강은 전북 장수의 뜬봉샘에서 발원하여 진안, 무주, 금산, 영동, 옥천, 대전, 세종, 공주, 부여를 경유, 군산에서 서해를 만나며 총 길이는 395km. 남한에서는 낙동강, 한강 다음으로 긴 강으로 전라북도와 충청남북도를 가로질러 장장 1,000리 물길이지요. 그동안 금강은 2차례에 걸쳐 이미 중하류를 답사한 적이 있었는데요. 2014년에는 대청댐에서 군산까지 하류지역 146km를 자전거로 종주한 적이 있었고, 2017년엔 중류지역인 충남 금산에서 대청댐까지 자동차를 타고 답사한 적이 있었고, 오늘 탐사는 금강의 발원지인 장수 뜬봉샘에서 시작하여 진안, 무주를 거쳐 충남 금산까지 약 100km 구간이었습니다. 처음 답사한 뜬봉샘은 조선을 개국..
-
남양주 홍유릉(洪裕陵)과 후궁묘역강바람의 유적답사 2023. 8. 18. 11:15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위치한 홍유릉(洪裕陵)을 찾았습니다. 홍릉은 대한제국 제1대 황제 고종(1852~1919)과 명성황후 민씨(1851~1895)의 릉이며, 유릉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 순종(1874~1926)과 순명황후 민씨(1872~1904), 계비 순정황후 윤씨(1894~1966)의 릉입니다. 고종은 1897년 연호를 광무(光武)라 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하여 황제에 올랐기 때문에 왕릉이 아니라 황제릉으로서의 위용을 갖춘 모습입니다. 기존 조선왕릉과 다른 점은 제향공간에 있는 정자각 대신 침전(寢殿)을 두었다는 것, 또 하나는 침전 앞부터 홍살문까지 문,무인석과 석수를 배치하였다는 점이지요. 홍유릉 뒷편의 서쪽 야산에는 대한제국 황실 후궁들의 묘역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울타리를 막아놓아 늘상 궁금..
-
단종의 비 정순왕후 송씨의 사릉(思陵)강바람의 유적답사 2023. 8. 18. 11:11
남양주시에 있는 조선 제6대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 송씨의 사릉(思陵)을 찾았습니다. 정순왕후 송씨(定順王后 宋氏, 1440~1521)는가장 한많은 여성이지요. 14세에 단종과 결혼하였으나 후사도 없이 17살에 헤어져 죽음도 보지 못한채 82살까지 살았으니 하는 말입니다. 송씨는 1454년(단종 2)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다음해에 단종이 세조에게 왕위를 넘겨주자 의덕왕대비(懿德王大妃)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1457년(세조 3) 단종복위운동이 실패하자 단종은 노산군(魯山君)으로 신분이 낮아져 영월로 유배되었고 정순왕후는 군부인으로 신분이 낮아졌지요. 궁을 나온 정순왕후는 동대문 밖에 있는 정업원(淨嶪院)에서 한많은 여생을 보냈는데 정업원 앞 동망봉에 올라 영월이 있는 동쪽을 바라보며 단종을 그리워했다고 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