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무주구천동 33경을 찾아서(2) --- 내구천동 제15경 월하탄~32경 백련사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9. 5. 17:42
오전에 외구천동을 마친후 오후에는 내구천동을 찾았습니다. 내구천동은 본격적으로 구천동 계곡길을 걸으며 하나하나 답사해 가는 흥미진진한 코스이지요. 제15경 월하탄에서 32경 백련사까지 내구천동을 샅샅이 살폈지만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라 그냥 지나치며 탐방하지 못한 곳이 여러곳이네요. 아쉬움이 무척 큽니다. 내일은 마지막으로 33경인 덕유산 향적봉을 오를 계획입니다. 구천동 식당가를 지나면 백련사 방향으로 나타나는 덕유산국립공원표지판. 자동차는 통행이 불가하니 직접 걸어서 등반하며 내구천동을 답사해야. 내구천동에서 처음 맞이하는 제15경 월하탄(月下灘). 다소 거친 모습이나 기암을 타고 쏟아지는 폭포수가 달빛에 비치면 장관을 이룬다고. 최근 건립한 덕유산국립공원탐방안내소. 탐방안내소라는 명목으로 깊은 숲을..
-
무주구천동 33경을 찾아서(1) --- 외구천동 제1경 나제통문~14경 수경대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9. 5. 17:37
무주여행 2일째 일정입니다. 젊은 시절부터 여러번 무주를 찾았지만 무주구천동 33경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지 못해 늘 아쉬운 마음이었는데요. 그래서 아침부터 무주구천동 33경을 찾아 나섰습니다. 무주구천동은 나제통문을 시작으로 36km에 걸친 덕유산 향적봉까지 기암괴석과 희귀한 동식물들이 서식하는 태고의 원시림 사이를 흐르는 맑은 물이, 소, 담과 폭포가 되어 우리나라 경승지중 가장 아름다운 33경을 이룹니다. 참고로 33경은 제1경 나제통문, 제2경 은구암, 제3경 청금대, 제4경 와룡담, 제5경 학소대, 제6대 일사대, 제7경 함벽소, 제8경 가의암, 제9경 추월담, 제10경 만조탄, 제11경 파회, 제12경 수심대, 제13경 세심대, 제14대 수경대, 제15경 월하탄, 제16경 인월담, 제17경 사자담..
-
무주 적상산 적상호, 사고, 안국사, 적상산성, 안렴대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9. 5. 17:28
무주여행 첫날 일정으로 금강벼룻길을 답사후 적상산을 찾았습니다. 적상산에는 무주양수발전소 상부저수지(적상호)와 적상산사고, 안국사, 적상산성, 안렴대 등 볼거리가 무척 많지요. 자세한 내용은 사진과 설명으로 대신합니다. 금강벼룻길을 답사후 바라본 적상산. 무주읍은 반딧불이축제 기간중으로 떠들썩! 단풍나무가 일품인 적상산 오름길. 가을에 오면 붉게 물든 단풍이 눈부시지만 지금도 꽤 괜찮은 아름다운 길. 적상산 상부저수지(적상호)에 거의 다달을 즈음 나타나는 물막이댐. 해발 800m에 있는 무주양수발전소의 적상산 상부저수지(적상호) 전경. 전기가 남는 밤에 하부저수지의 물을 상부저수지로 퍼올렸다가 전기수요가 맣은 시간에 떨어뜨려 발전하는 방식으로 1995년에 완공. 무주양수발전소의 적상산전망대. 무주의 아름..
-
2박3일 전북 무주여행 --- 금강벼룻길 각시바위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9. 5. 17:16
2022.8/28(일)~8/30(화), 2박3일간 전북 무주여행을 다녀 왔습니다. 무주는 아름다운 금강이 흐르고 덕유산과 무주구천동이 있어 무척 아름답지요. 첫날엔 금강벼룻길, 적상산 산정호수, 안국사와 사고, 안렴대. 둘째날엔 무주구천동 33경. 세째날엔 덕유산 향적봉에 올랐습니다. 장수 뜬봉샘에서 발원한 금강은 무주를 지나면서 험난한 지형을 구불구불 흐르며 비경을 이루지요. 먼저 찾은 금강벼룻길은 금강변마실길의 한 구간으로 굴암리의 율소마을에서 부남리의 대소마을에 이르는 약 1.5km 강변길을 말합니다. 벼룻길은 강가의 낭떠리지 비탈길을 말하는데 일제강점기에 굴암리의 대뜰에 물을 대기 위해 조항산 자락에 낸 농로를 말하는데 세월이 흘러 등교길, 나들이길, 마실길로 변했고 최근에는 생태길로 각광을 받는..
-
사직단 전사청(典祀廳) 권역 복원, 개관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8. 19. 10:34
사직단 전사청(典祀廳) 권역에 대한 복원공사를 마치고 지난 5/10(화) 개관되었습니다. 토지의 신(社)과 곡식의 신(稷)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인 사직단은 일제시대 이후 건물이 철거되며 대부분 훼손되고 말았는데요. 특히 제례를 준비하는 공간인 전사청 권역은 일제때인 1922년 모두 철거되어 공원으로 조성되었습니다. 당초에는 제기를 보관하던 제기고(祭器庫), 절구를 두고 곡물을 찧던 저구가(杵臼家), 제례용 물건을 보관하던 잡물고(雜物庫), 제물 준비공간인 재생정(宰牲亭), 관리관원 거주공간인 수복방(守僕房) 등이 있었는데 일제에 의해 철거된지 100년만에 모두 복원된 것 입니다. 20여년 전만 해도 넓은 공터에서 공차기를 하며 놀곤했는데 이곳에 전사청 관련 건물들이 있었다는건 까마득하게 모르고 있었지요..
-
청와대, 국민 품으로(4) --- 칠궁(七宮)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8. 3. 09:26
청와대 관람, 마지막 순서로 종로구 궁정동에 있는 사적 제149호, 칠궁(七宮)을 답사하였습니다. 청와대와 맞닿아 있는 칠궁은 1968년 1/21 사태 이후 아예 접근조차 되지 않던 곳이었습니다. 조금 완화되어 십여년 전에는 몇달전에 예약하여 어렵게 방문할수 있었으니 하늘에 별따기만큼 어려웠는데 근래에는 더 완화되어 방문하여 바로 비표만 달고 입장할수 있게 바뀌었지요. 금년 5/10 이후에는 아무 제약없이 자유롭게 입장이 가능해져 편하게 탐방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모두 꿈같은 얘기지요. 현지 자료에 의하면, 「칠궁(七宮)은 근래에 와서 붙여진 명칭으로 조선시대에 왕을 낳은 일곱 후궁들의 신주를 모신 왕실 사당이다. 원래 이곳은 영조가 어머니 숙빈최씨를 기리기 위해 1725년(영조 1)에 지은 사당으로 처..
-
청와대, 국민 품으로(3) --- 북악산 백악정, 청와대전망대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8. 3. 09:19
(1), (2)편에서는 청와대를 관람했고, (3)편에서는 청와대에서 등산로를 따라 북악산에 올라 백악정, 청와대전망대, 만세동방약수터를 찾은 내용입니다. 북악산은 1968년 1.21사태 이후 굳게 닫혀 있다가 2006년부터 숙정문 일대 부분개방으로 시작으로 시간을 두고 조금씩 등산로가 풀렸는데요. 특히 금년 4/6 문재인대통령 퇴임 직전에 북악산 남측이 개방되었으며 금년 5/10부터는 바로 청와대 뒷편이 개방되어 북악산 등산로는 모두 자유롭게 다닐수 있게 된것 입니다. 오늘은 춘추관 입구에서 청와대 담장을 따라 북악산 백악정, 청와대전망대, 만세동방약수터까지 갔다가 칠궁 방향으로 하산하였습니다. 이 길은 역대 대통령들이 자주 이용하던 북악산 등산로인데요. 북악산 백악정, 청와대전망대에서 남쪽으로 청와대와..
-
청와대, 국민 품으로(2) --- 오운각, 미남불, 침류각, 상춘재, 녹지원, 춘추관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8. 2. 09:51
청와대 , 국민품으로 2편입니다. (1)편에서는 청와대 영빈관, 본관, 수강터, 관저를 살펴보았고, (2편)에서는 오운각, 미남불, 침류각, 상춘재, 녹지원, 춘추관 등을 살펴본 내용입니다. 청와대, 국민 품으로 제(2)편은 오운각, 미남불, 침류각, 상춘재, 녹지원, 춘추관 등을 살펴본 내용. 워낙 신비롭고 볼거리가 많아 빠짐없이 보려니 왔다갔다, 정신도 없고 힘도 듭니다.ㅎㅎ 관저를 나서 오운정, 미남불을 보러 갈 순서~~!! 오운정, 미남불이 있는 곳은 관저의 뒷산. 산길 초입에서 만나는 작은 연못. 살펴보니 이곳의 물이 청와대 경내를 흘러 경복궁을 경유하여 청계천으로 흘러 가네요. 오운정, 미남불을 보기 위해 관저 뒷산으로 올라 갑니다. 점점 흥미만점이요, 점입가경이네요~~!! 오호, 관저 뒷산에..
-
청와대, 국민 품으로 (1) --- 영빈관, 본관, 수궁터, 관저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8. 2. 09:50
2022.5/10(화) 드디어 청와대가 국민 품으로 돌아 왔습니다. 20대 윤석열대통령이 취임을 하며 개방된 청와대는 74년 영욕의 시절을 끝마치고 시민들에게 자리를 내준 것이지요. 74년이면 1948년 건국 이후를 말하는데 엄밀히 얘기하자면 일제강점기 이전 부터이니 150년도 훨씬 넘는 세월 동안 닫혀 있던 금단의 땅이었습니다. 역대 대통령들도 청와대를 개방하려고 노력은 해왔는데 이에 개인적으로 2010년에 청와대와 칠궁을 어렵게 예약하여 관람한 적이 있었는데요. 물론 당시는 청와대 앞 부분만 멀리서 구경하는 수준이었고 지금처럼 청와대 경내와 뒷편의 북악산까지 전면개방은 꿈에도 생각할수 없는 일이었지요. 청와대 경내를 속속들이 구경하고 뒷편의 북악산까지 오르니 그져 감격스러울 뿐! 잠시 청와대 역사를 ..
-
오랜만에 찾은 경주 불국사(佛國寺)와 석굴암(石窟庵)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8. 2. 09:50
경북여행 3일째에는 경주 불국사(佛國寺)와 석굴암(石窟庵)을 찾았습니다. 사적 제502호이며 1995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불국사는 신라문화의 정수이며 완결판으로 더이상의 설명이 필요없지요. 삼국유사에는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으로 불국사를 창건했다는 기록이 나오지만 개인의 원찰이 아니고 국가의 원찰로 건립되었다고 설이 지배적입니다. 그는 현생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짓고, 전생의 부모를 위해서는 석굴암을 세웠다고 하는데요. 이후 고려, 조선을 거치면서 수없는 병화로 인해 중창을 계속해 왔는데 현재의 모습은 1973년 대대적인 보수공사로 복원된 모습입니다. 그전의 일제때 사진을 보면 거의 무너져 내려 자하문, 범종각, 대웅전, 극락전 등만 겨우 남아 있었지만 옛 터를 발굴한 후 없어졌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