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단양여행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잔도길, 카페산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11. 29. 11:32
2022.11/27(일) 단양나들이를 다녀 왔습니다. 단양은 1984년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어 도시 전체가 옮겨진 아픈 역사가 있지요. 본래의 단양은 대부분 수몰되고 신단양이 새로이 건설되었으며, 중앙선 철길도 강건너편에 다시 건설되었는데요. 폐쇄된 옛 철길과 터널은 현재 도로로 사용중인데 만천하스카이워크로 가는 천주터널과 애곡터널, 이끼터널, 수양개빛터널 등이 40년전의 중앙선 폐터널입니다. 예전에는 단양팔경이나 석회암동굴이 인기가 높았지만 최근에는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잔도길, 이끼터널, 수양개빛터널, 구경시장, 카페산 등이 인기몰이중이더군요. 만천하스카이워크는 남한강변 만학천봉 위에 세운 말굽형 전망대에 세 손가락 형태의 길이 15m, 폭 2m의 고강도 삼중유리를 통해 스릴을 느끼며 신단양과 남한..
-
동해안나들이(3) --- 오대산 소금강, 방아다리약수터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11. 23. 09:53
동해안여행 3일째에는 귀경하면서 오대산 소금강, 방아다리약수터를 찾았습니다. 오랜만에 찾은 오대산 소금강~~!! 맑은 날씨에 보이는 풍경 모두가 비경이요 신비롭기만 하네요. 예전에는 청학동 소금강, 명주 소금강이라고 불렀는데 오대산국립공원에 속하게 되면서 오대산 소금강으로 불리게 되었지요. 1970년 명승 제1호로 지정될만큼 워낙 경관이 뛰어난 계곡인데 소금강(小金剛)이란 이름은 조선시대 학자인 율곡 이이(李珥)의 '유청학산기(遊靑鶴山記)'에서 유래된 것으로 빼어난 산세가 마치 금강산을 축소해 놓은 것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입구에서 계곡을 따라 무릉계, 십자소, 식당암, 구룡폭포, 만물상등의 명소가 있으며 계속 오르면 노인봉을 거쳐 진고개로 갈수 있지만 약 2km를 걸어 금강사 옆의 식당암까지만 왕..
-
동해안나들이(2) --- 속초 영랑호, 동명항, 외옹치바다향기로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11. 23. 09:47
동해안여행 2일째 일정으로 속초 영랑호, 동명항, 외옹치바다향기로를 방문한 내용입니다. 속초시에는 영랑호와 청초호 등 2개의 석호가 있지요. 영랑호라는 이름은 신라의 화랑인 영랑(永郞)이 이 호수를 발견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삼국유사에 따르면 금강산에서 수련을 마친 영랑이 이곳을 지나다가 잔잔한 호수와 범바위가 물속에 잠겨 있는 모습에 도취되어 무술대회에 나가는 것조차 잊고 오랫동안 이곳에 머물렀다는 전설이 전해집니다. 지난해 조성된 영랑호수윗길은 호수 위에 길이 400m나 되는 부교를 놓아 건너다니게 해놓았는데 무엇보다도 설악산의 멋진 연봉을 파노라마처럼 바라볼수 있어 새로운 볼거리, 즐길거리로 손색이 없더군요. 외옹치해안에는 근래 '바다향기로'가 조성되어 각광을 받고 있지요. '바다향기로'는 속초..
-
동해안나들이(1) --- 고성 금강산 화암사와 수바위, 성인대(신선대)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11. 23. 09:38
2022.11/14(월)~11/16(수) 5인회 주관으로 2박3일간 동해안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첫날은 고성 금강산 화암사와 수바위, 성인대(신선대), 둘째날엔 속초 영랑호와 물윗길, 동명항, 외옹치바다향기로, 세째날엔 오대산 소금강, 방아다리약수터를 방문하였습니다. 고성군 토성면 신평리에 위치한 화암사(禾巖寺)는 금강산 최남단의 사찰로 유명합니다. 화암사 탐방에 앞서 화암사숲길 4.1km를 걸어 수바위와 성인대(신선대)까지 다녀 왔는데요. 수바위와 화암사에 전해지는 전설을 되집어 보고, 성인대에 올라 상봉, 신선봉 등 북설악의 장쾌한 능선과 동해의 푸른 바다를 보기 위함이지요. 화암사 앞에 우뚝 서있는 수바위~~!! 수바위는 임진왜란때 곡식으로 위장하였다고 하여 이삭 수(穗), 바위의 생김새가 뛰어나기에..
-
화서 이항로 생가와 노산팔경 탐방기강바람의 유적답사 2022. 11. 13. 10:19
가을이 깊어가는 2022년 11월 초, 양평군 서종면 노문리에 위치한 화서 이항로 생가를 찾았습니다. 조선의 마지막 유학자이자 위정척사(衛正斥邪)를 대표하는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1792~1868) 선생은 스승없이 독학으로 학문의 경지를 이룬 분. 서양문물의 침투를 배격한 방파제였으며 대원군의 쇄국정책을 정면으로 공격한 당대의 직언자이기도 하며 또한 일생을 바쳐 민족정기 수호와 한민족의 주체성을 굳게 지키신 분입니다. 조선 말기 위정척사론을 주도했던 최익현, 김평묵, 유중교, 양헌수, 유인석 등이 모두 그의 문하이며, 이들을 화서학파라고 부르기도. 잡 앞을 흐르는 벽계천은 무척 맑고 아름답지요. 이항로 선생이 벽계천과 집 주변의 승경지 9곳을 벽계구곡(蘗溪九曲)이라고 부르고 은둔생활도 추구했던 곳..
-
용문에서 흑천, 남한강따라 라이딩강바람의 싸이클링 2022. 11. 12. 10:45
미니벨로는 조용히 유유자적하며 즐기는 장난감같습니다. 특히 가을녘에 미벨을 타고 경관을 즐기며 역사기행도 하다보면 행복이 철철 넘치지요.ㅎㅎ 2022.11/ 6(일) 오늘은 용문에서 흑천, 남한강을 따라 하남까지 돌아오는 코스를 잡았는데요. 저질체력으로 2번이나 점프하여 실제 미벨을 탄것은 약 50km에 불과하였으나 저물어가는 가을을 만끽한 하루였습니다. 가장 아름다운 길을 달리니 몸도 마음도 상쾌하네요. 출발점에서 가까운 하남 한강자전거도로. 오늘은 날씨가 좋아 하늘도 푸르고 물빛도 고우네요. 반갑다, 고니야~~!! 11월 초이지만 당점섬에는 벌써 고니들이 모여 있네요. 보름전인 지난 10월 중순부터 시베리아, 몽고 등 먼길을 날아온 고니들이 조금씩 관찰되더군요. 단골코스인 팔당대교는 필히 건너야. 예..
-
샛노란 단풍이 아름다운 성균관은행나무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11. 6. 09:13
2022.11/2(수) 다시 성균관을 찾았습니다. 11월 초의 성균관 은행나무는 샛노란 단풍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더군요. 역사 깊은 성균관에 대해서는 여러번 세세하게 살핀 적이 있었기에 오늘은 은행나무만 즐기기로. 내친김에 성균관대~창덕궁 뒷담길~감사원 앞~삼청동~청와대 앞길~경복궁역까지 가을을 흠뻑 느끼며 걸으니 넘 행복하네요. 이상하게도 올 가을처럼 단풍에 심취한 적도 없었던것 같습니다. 역시 가을은 남자의 계절이 맞는것 같네요.ㅎㅎ 다시 찾은 성균관. 오호, 은행나무 단풍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네요. 성균관 정문인 신삼문 좌우의 은행나무 모습. 샛노란 단풍의 아름다움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 성균관 은행나무는 정문인 신삼문 안쪽 좌우에 2그루, 명륜당 앞에 2그루 등 모두 4그루가 있지요. 명륜당..
-
남양주 수종사(水鐘寺)와 은행나무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11. 2. 22:00
올 가을엔 노란 은행잎에 취해 여기저기 찾아 헤매니 이게 웬일인가요~~!! 나이 탓인가 봅니다. 2022.11/2(수) 남양주 수종사를 찾았습니다. 역사탐방도 하고 500년 이상된 샛노란 은행나무도 볼테니 바로 일거양득이라 아니할수 없네요. 수종사의 샛노란 단풍은 아름다웠지만 철이 약간 지난 느낌. 그래도 서리가 내리기 전에 은행나무 단풍을 볼수 있었으니 큰 행운입니다. 운길산 수종사(水鐘寺)는 조선 7대 세조의 명으로 중창된 사찰로서 일찌기 서거정(徐居正, 1420~1488)은 동방사찰중 제일의 전망이라고 격찬한 바 있습니다. 창건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1439(세종 21)년에 세워진 정의옹주의 부도가 있고 1459년(세조 5) 왕명으로 크게 중창된 역사가 있지요. 세조가 금강산에 다녀오는 길에 양수리에..
-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10. 31. 20:55
2022.10/30(일) 장수동 은행나무를 보기 위해 방문한 인천대공원! 인천대공원은 단풍이 아름다운 곳이니 몰려든 인파로 발디딜 틈도 없네요. 인천대공원 동쪽 끝에 있는 장수동 은행나무는 얼마나 단풍이 들었는지 몹시 궁금했는데요. 바쁜 발걸음으로 달려가 보니 약 80% 정도 단풍이 들어 노란 모습이 너무나 아름답네요. 장수동 은행나무는 높이 30m, 둘레 8m로 수령이 800여년이나 되어 천연기념물이며 용문사은행나무, 반계리은행나무와 나란히 어깨를 겨룰만큼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지요. 아름다운 단풍을 처음 대하니 고생하며 찾아간 보람이 커 만족스럽니다. 장수동 은행나무를 보기 위해 찾은 인천대공원. 단풍명소로 이름 난 인천대공원. 지난 여름 인천둘레길을 걸으면서 몇차례 찾았던 인천대공원. 어느새 고운 가..
-
깊어가는 가을을 만끽하며 남한강자전거길을 달리다강바람의 싸이클링 2022. 10. 31. 20:54
2022.10/29(토) 진정한 가을이 찾아 왔네요. 우리의 가을산하는 너무나 아름다우니 모든게 싱그럽고 상쾌하기만 합니다. 어찌보면 자전거를 탈수 있는 시간도 얼마남지 않은 느낌. 다음 11월 한달이라도 부지런히 타야 내년을 기약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오늘은 팔당역까지 미벨로 가서 국수역까지 전철로 점프한후 다시 미벨을 타고 하남 집까지 돌아 왔습니다. 거리는 기껏해봐야 40km 남짓. 유유자적 달릴수 있는 아름답고 상쾌한 가을이 있어 행복한 하루였습니다. 라이딩 도중 잠시 능내역 부근에 있는 한확 묘소를 답사하는 시간도 가졌는데요. 한확(韓確, 1403~1456)은 덕종의 비인 소혜왕후(인수대비)의 아버지이자 성종의 외조부이며 명나라 영락제, 선덕제의 처남이며 명나라의 관료이자 조선의 대명외교통.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