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022.4/6(수) 개방된 북악산 남측면 둘레길을 걷다강바람의 산행일기 2022. 4. 7. 22:37
2022.4/7(목) 개방된 북악산 남측면 둘레길을 걸었습니다. 주요 코스는 삼청안내소~만세동방약수터~청운대전망대~백악곡장~청운대전망대~법흥사 절터~삼청안내소로 북악산 남측면 둘레길을 걸었는데요. 54년만에 전면개방된 북악산을 자유롭게 걸으니 모든게 새롭고 감동적이었습니다. 북악산은 지난 김신조 무장공비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한 1968년 1.21사태 이후 일반인의 출입을 완전히 통제했었지요. 2022.4/6(화) 북악산 남측면 개방으로 청와대를 제외하곤 전면 개방되었으니 2017년 문재인대통령의 대선후보 당시 밝힌 북악산, 인왕산 전면 개방약속이 잘 지켜진 셈이네요. 그동안 북악산 일대 개방내역을 살펴보면, 1993년 2월 25일, 김영삼 대통령때 인왕산 부분개방을 시작으로 2006년 4월 1일, 노무..
-
시흥 늠내길 2코스(갯골길)를 걷다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4. 7. 22:32
2022.4/4(월) 시흥 늠내길 2코스(갯골길)를 걸었습니다. 늠내길 2코스는 경기 유일의 내만 갯골을 끼고 양 옆으로 드넓게 펼처진 옛 염전의 풍광을 즐기며 걷는 길이지요. 돌이켜보면 방대한 폐염전 땅이 개발로 사라지지않고 잘 보존되어 있으며 일부이긴 하지만 친환경 생태공원으로 다시 태어남은 한마디로 신선한 충격! 주요 코스는 시흥시청~장현천~시흥갯골생태공원~섬산~미생의다리~포동배수펌프장~시흥시청으로 돌아오는 코스로 연장은 총 15km. 갯골길에서 우리 민초들의 애환이 서려 있는 내만 갯골과 드넓은 폐염전의 억새밭을 바라보며 걷노라면 마냥 행복감을 느끼게 됩니다. 갯골생태공원에는 소금창고 2동과 가시렁차가 남아 있는데요. 불과 1세기 전만해도 시흥갯골 주변은 모두 바닷가 갯벌이었습니다 일제때인 193..
-
시흥 늠내길 1코스(숲길)를 걷다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4. 5. 17:16
드디어 시흥 늠내길을 시작하였습니다. 시흥은 바다와 폐염전, 내만 갯골이 있고 또 넓은 들판, 낮으막한 산들이 많아 맑은 공기를 마시며 걷기에 아주 좋은 환경이지요. 타 자치단체에 비해 훌륭한 자연환경을 가진 시흥은 늠내를 캐치프레이스로 내놓고 있는데요. 늠내길의 '늠내'는 옛 시흥지역의 고구려 시대 지명인 잉벌노(仍伐奴)를 우리말로 표현한 것으로 '뻗어 나가는 땅'을 의미한다니 나날이 발전하는 시흥을 잘 표현한 말 같습니다. 4월중 늠내길을 걸으며 시흥의 이모저모를 살피고자 합니다. 늠내길은 모두 5개 코스에 총 67km. 1코스(숲길)는 시흥의 낮으막한 산들을 걷는 길로 시흥시청~군자봉~진덕사~시흥시청까지 연장 11.5km. 2코스(물길)는 경기 유일의 내만 갯골을 걷는 길로 시흥시청~갯골생태공원~미..
-
종로 낙산 자락의 창신동, 숭인동을 탐방하다(2)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4. 3. 09:45
종로 낙산 자락의 창신동, 숭인동을 탐방하다(1)편에 이어 계속하여 (2)편을 올립니다. (1)편에서는 창신동 봉제거리, 이음피움봉제역사관, 골목시장, 채석장, 안양암, 백남준기념관 등을 살펴 보았고 (2)편에서는 산마루놀이터, 채석장전망대(카페), 낙산공원, 비우당 옛터, 정업원 옛터, 청룡사, 숭인공원, 동망봉 등을 탐방한 내용입니다. 낙산에서 내려와 동쪽으로 뻗은 능선을 걸으며 단종 비, 정순왕후와 관련된 유적과 시설들을 탐방하였습니다. 정순왕후가 비단을 빨아 자줏빛으로 물들였다는 자지동천, 비구니가 되어 살았다는 정업원과 청룡사, 매일 산에 올라 동쪽의 영월을 바라보았다는 동망봉 등이지요. " 단종이 강원도 영월로 유배될때 동대문 밖에서 단종과 생이별한 정순왕후는 지금의 숭인동 청룡사터에 있던 작..
-
종로 낙산 자락의 창신동, 숭인동을 탐방하다(1)강바람의 국내여행 2022. 4. 3. 09:42
종로 낙산 자락에 있는 창신동, 숭인동을 탐방하였습니다. 어쩌다 한양도성이 있는 낙산에 오를때면 창신동 돌산, 산비탈을 바라보곤 했는데요. 산꼭대기까지 빼곡한 집들을 바라만 보다가 오늘 비로소 일부 지역이지만 골목골목을 탐방할 기회를 가졌습니다. 낙산에서 뻗은 지형을 유심히 살펴보면 능선이 3개가 있는데 남쪽으로 뻗은 첫번째, 두번째 능선 사이에 창신동이 있고, 두번째와 동남쪽으로 뻗은 세번째 사이에 숭인동이 위치하고 있지요. 한양도성의 동대문 밖에 있는 창신동, 숭인동은 옛부터 도성에 제일 가깝고 경관이 아름다워 사대부들이나 살수 있는 아름다운 곳이었다고 합니다. 한적하던 이 지역에 일제시대때 대규모 채석장이 들어서고 근래에는 산비탈, 절벽 아래에 까지 집이 들어서는 등 많은 변화가 있었고 앞으로 도시..
-
인천종주길 10코스를 걷다 (끝)--- 송도국제도시 8.5km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3. 29. 08:51
2022.3/28(월) 마지막으로 10코스를 걸어 인천종주길을 완주하였습니다. 10코스는 인천의 성장동력인 송도국제도시를 걷는 길! 송도국제도시는 불과 30년 전만 해도 광활한 갯벌이었으나 바다를 매립하여 태어난 인공섬. 바다였던 송도국제도시는 1994년부터 매립을 시작하였고 2003년에는 인천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한때 허허벌판으로 삭막한 적도 있었지만 꾸준한 개발이 이루어졌는데요. 2009년 송도컨벤시아, 센트럴파크, 인천대교가 완공되었으며 2011년부터 초고층 아파트와 오피스 빌딩들의 입주가 시작된바 있으나 개발은 아직도 계속 진행중. 10코스를 걸으며 살펴보니 깨끗한 가로, 많은 면적의 공원, 각양각색의 고층건물들로 이루어진 품격 높은 모습에 바다까지 잘 조망되니 보이는 모든 것이 놀랍고 부..
-
인천종주길 8. 9코스를 걷다 --- 문학산~청량산~봉재산~인천환경공단 10.7km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3. 29. 08:47
2022.3/27(일) 인천종주길 8, 9코스를 걸었습니다. 8코스는 선학경기장~문학산~문학산성~연경정~노적봉~구.송도역까지 5.3km, 9코스는 구.송도역~청량산~동춘터널 상부~봉재산~인천환경공단까지 5.4km이니 총 10.7km를 걸은 셈이네요. 오늘 드디어 문학산(217m) 정상에 올랐습니다. 철조망을 걷어내고 금단의 땅에 들어가니 마치 잃었던 자유를 되찾은 기분입니다.ㅎㅎ 문학산은 옛날 정상에 우뚝 솟은 봉화대가 있었는데 산아래에서 보면 배꼽처럼 보여 배꼽산으로 불렸다고. 6.25 사변 이후 미군부대가 들어서기 전에는 문학산 높이가 233m였으나 군부대 공사때 깎아내려 217m가 되었다고 하네요. 그때 문학산성도 훼손되고 봉화대도 사라지고 말았는데요. 미사일기지가 있어 인천 시민들의 걱정꺼리였던 ..
-
인천종주길 6, 7 코스를 걷다 --- 장수천~영동고속도로~오봉산~승기천 ~선학경기장까지 12.9km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3. 22. 15:56
2022.3/21(월) 인천종주길 6, 7코스를 걸었습니다. 주요 코스는 인천대공원 습지원~장수천~남동체육관~영동고속도로~오봉산~듬배산~남동공단~승기천~선학경기장으로 거리는 약 12.9km. 6코스는 인천대공원에서 장수천을 따라 영동고속도로까지 이고, 7코스는 오봉산에서 남동공단, 승기천을 따라 선학경기장까지 인데요. 6, 7코스를 한꺼번에 걸은 오늘 코스는 내 생전에 들은 적도 없고 본적도 없는 생소한 지역. 개인적으로 생소한 지역을 걷는걸 무척 좋아하거든요. 과거 소래포구, 소래습지생태공원은 몇 차례 찾은적이 있었지만 낯선 인천 남동구의 구석구석을 걸으며 역사지리 체험을 하니 너무나 기쁘고 보람도 크다는 생각입니다. 생각해 보면 인천의 해안지방은 불과 1세기 동안 너무 많은 변화가 있어 놀랄수 밖에 ..
-
인천종주길 5코스를 걷다 --- 수현마을~인천대공원~거마산~소래산~관모산 10km강바람의 둘레길,옛길 걷기 2022. 3. 16. 18:43
2022.3/15(화) 인천종주길 5코스를 걸었습니다. 주요 코스는 수현마을~인천대공원~거마산~만의골~소래산~상아산~관모산~백범광장까지 약 10km. 어찌보면 5코스는 인천대공원을 감싸고 있는 산들을 둥그렇게 걷는 코스인데 능선길에서 인천 남동구, 시흥시, 부천시를 두루 살필수 있으니 무척 의미있고 흥미진진한 길이 되었습니다. 오늘 3번째로 인천종주길을 걸었는데 그동안 계양산을 시작으로 원적산, 함봉산, 만월산, 만수산, 거마산, 소래산, 관모산까지 여러 산과 능선을 걷고 올랐네요. 종주길에서 바라보는 조망은 통쾌하기도 했지만 웬지 가슴이 뭉쿨하기도 했는데요. 인천바닷가에서 내륙으로 통하기 위해 옛부터 얼마나 많은 민초들이 땀을 흘리며 한남정맥의 고갯길을 넘어 다녔을까요! 애환이 구구절절히 서려 있을 고..
-
어릴때의 추억이 듬뿍 담긴 낡은 괘종시계강바람의 일상 2022. 3. 9. 10:01
어릴때의 추억이 듬뿍 담긴 오래된 괘종시계가 방안에 걸려 있지요. "막내야! 시계 밥 좀 주거라~~!!" 지금 몇시나 됐니~~?? 아버님, 어머님의 음성이 아직도 귀에 생생하게 들리네요. 괘종시계가 태어날때 부터 있었으니 나보다도 나이가 많아 역사가 족히 80년은 되어 보이는데요. 1945년 해방이 되기 전에 아버님, 어머님이 혼인하신 후 신혼때 비싼 돈을 주고 사셨다고 자주 말씀하셨거든요. 늘 애지중지하며 밥상에 앉아서도 대견스러운 눈빛으로 바라보며 단골로 하시는 말씀은 "시계가 우리와 같이 늙어가는구나". 어려웠던 시절이라 당연히 괘종시계는 우리집의 자랑이요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 보배였습니다. 어릴때의 하루 일과는 늘 시계과 같이 했는데요. 땡, 땡 치는 종소리를 듣고 잠에서 깨었으며 또 종소리에 맞..